CJ푸드 급식 ‘식중독 파문’ 확산 구내식당 135곳 운영 중단

  • 입력 2006년 6월 24일 03시 09분


식중독 의심 사고로 인한 사상 최악의 ‘급식대란’이 전국의 학교, 병원, 기업체 구내식당으로 확산되면서 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22일 CJ푸드시스템의 급식 중단으로 93개 초중고교생 9만여 명이 점심 급식을 받지 못한 데 이어 23일 이 회사가 직영하는 구내식당(하루 45만 명분) 599곳 가운데 신호제지 신탄진공장 등 사업장 19곳, 숙명여대 등 대학 21곳, 의정부의료원 등 병원 2곳 등 135곳이 구내식당 운영을 중단해 달라고 CJ 측에 요청했다.

그러나 병원 75곳을 포함한 구내식당 464곳은 당분간 CJ 측에 구내식당 운영을 맡기기로 해 환자와 직원 등이 불안해하고 있다.

또 CJ푸드시스템은 직영 구내식당 외에도 구내식당 1026곳에 식자재를 부분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들 식당 가운데 상당수는 갑자기 공급처를 바꾸기 힘들어 CJ 측에서 식자재를 공급받을 예정이다.

교육인적자원부와 각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16∼23일 식중독으로 의심되는 급식 사고가 발생한 학교는 27곳, 환자 수는 1700여 명으로 집계됐다.

급식이 중단된 학교는 서울 40곳, 인천 17곳, 경기 8곳, 부산 4곳, 경남 10곳, 강원 1곳, 대전 5곳, 광주전남 7곳, 울산 1곳 등 모두 93곳이다.

급식이 중단된 학교에서는 도시락을 준비하지 못한 일부 학생들이 점심 식사를 하지 못했으며, 대부분 학생은 도시락이나 빵 우유 김밥 등으로 점심 식사를 했다.

가정통신문 발송 등이 늦어 도시락 준비에 차질이 생긴 경기 계원예고 등 2개교와 인천지역 12개교, 대전 이문고 등 일부 학교는 이날 오전수업만 하고 학생들을 일찍 돌려보냈다. 또 식중독 환자가 발생한 서울 숭의여고는 기말고사와 여름방학을 연기하기로 했다.

정부는 23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한명숙 국무총리 주재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전국 1만여 학교를 대상으로 급식실태를 전부 조사하기로 했다.

정부는 “책임 소재가 밝혀지면 영업승인 취소는 물론 6개월간 동일 장소에서 동일한 영업을 할 수 없도록 하는 영업장 폐쇄 조치와 형사 고발을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급식 사고가 발생한 서울 2개교에서 식중독 증세를 보인 학생 200여 명의 대변에서 식중독을 유발하는 ‘노로바이러스(Norovirus)’를 검출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오염된 물로 씻은 샐러드 또는 주꾸미가 급식 사고의 주범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광현 기자 kkh@donga.com

나성엽 기자 cpu@donga.com

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