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교조는 전국적으로 전체 53개 선거구(132명 선출)에서 41명의 단일후보를 공천했지만 14명밖에 당선시키지 못했다.
2002년 실시된 제4대 교육위원선거에서는 전교조가 전국적으로 35명을 추천, 24명을 당선시켰었다.
특히 서울지역의 경우 전교조는 전체 7개 선거구에 모두 단일 후보를 냈지만 전교조 위원장 출신인 이부영(제4선거구)후보와 제4대 교육위원인 박명기(제7선거구)후보 등 2명만이 당선됐으며 색깔론이 촉발됐던 부산지역에서는 당선자를 한명도 내지 못했다.
제4대 당시에는 전교조 후보가 서울 전체 7개 선거구에서 모두 7명이 당선, 시교육위원회 의장까지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었다.
이처럼 전교조가 저조한 성적을 낸 것은 전교조 부산지부 통일위원회가 지난해 10월 북한의 역사책을 발췌해 제작한 통일학교 행사 교재를 놓고 색깔논쟁이 야기되고 사학재단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후보들이 종전 선거과 달리 단독후보를 내고 적극 선거운동을 벌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교원 성과급 차등지급 반대 등 전교조의 강경일변도 투쟁방식에 식상한 비난여론도 참패의 한 원인으로 분석됐다.
`교육계의 국회의원'으로 불리는 교육위원은 임기가 4년으로 시ㆍ도 교육청의 교육정책 수립, 예산 편성 및 집행 등을 감시ㆍ견제하며 연간 5000만원 안팎의 의정비를 받는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교육위원 선거 전국 투표율은 86.8%로 집계됐다..
시ㆍ도별로는 대전이 95.2%로 가장 높았고 경북 93.7%, 전북 93.1%, 충북 92.8%, 전남 92.7%, 광주 91.3%, 충남 91.1%, 경남 89.3%, 인천 88.3%, 부산 87.4% 등이었다. 서울 투표율은 81.9%로 제4대 때의 87.8%보다 낮았다.
중앙선관위는 31일 현재 위법선거운동사례 94건을 적발, 이 중 33건은 고발, 12건은 수사의뢰, 49건은 경고조치했다. 이는 제4대 교육위원선거 당시의 51건보다 84% 증가한 것으로 선거운동이 그만큼 과열되고 혼탁했음을 보여준다.
경찰청은 대전ㆍ경북 교육감 선거에서 7건의 신고와 첩보가 들어와 4명이 내사 대상에 올랐고 시ㆍ도 교육위원 선거에서 7건의 위반 의혹 사례가 파악돼 9명을 내사중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뉴스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