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가 소개한 25장의 사진 가운데 북한의 인권 참상과 관련된 사진은 한 장도 없다. 군사분계선 사진에는 6·25전쟁이 ‘북한의 남침’이었다는 언급도 없다. 전교조 부산지부가 북한의 주체사관(史觀) 역사책을 베낀 ‘통일자료집’으로 교사들을 교육한 데 이어 서울지부는 편향된 북한관을 학생들에게 주입한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전교조는 북한의 식량난 때문에 남북한 청년의 키 차이가 15cm나 된다는 사실도 일러 주는지 궁금하다.
그제 시도교육위원 선거에서 전교조 추천 인사들이 대거 낙선했다. 전교조 측은 자신들이 교육계에서 설 자리를 잃고 있는 진정한 이유를 살피기는커녕 ‘보수 언론’ 등 남 탓만 했다. 전체 교직자의 20%도 안 되는 규모의 전교조가 제자들을 볼모 삼아 정치적 이념적 투쟁을 벌인다는 사실을 국민은 알고 있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살아갈 미래 세대에게 친북 반미 반세계화의 시대착오적 이념을 주입하는 것은 교육의 백년대계(百年大計)를 흔드는 일이다.
국민 세금으로 월급 받는 교사가 어떻게 공부가 뒤처지는 학생을 좀 더 잘 가르치자는 수준별 학습과 방과 후 학교를 반대할 수 있는가. 더 뛰어난 제자를 기르기 위한 자립형사립고 확대와 국제중 설립은 물론이고 스스로 능력을 키우라는 교원평가제까지 결사반대하는 교사라면 교직을 떠나야 마땅하다. 오죽하면 전교조 초대 정책실장을 지낸 김진경 전 대통령교육문화비서관이 “전교조는 교육 발전에 방해만 되는 세력”이라고 비판했겠는가.
이제 정부는 전교조에 더는 끌려 다녀선 안 된다. 교육계와 학부모들도 전교조의 ‘교육 유린’을 방치할 수는 없다. 전교조가 교육 정책을 좌지우지하는 것을 막고, 교육 수요자의 학습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교육위원 주민직선제가 이뤄져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