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용지보상 난항… 울산 국립대 벌써 ‘삐걱’

  • 입력 2006년 8월 17일 06시 56분


2009년 3월을 목표로 한 울산 국립대 개교 준비가 이달부터 용지 보상작업이 시작되면서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 대학의 설치 학과가 확정되지 않은 데다 일부 지주들이 생계대책을 세워 달라며 반발하는 등 장애물도 적지 않은 상태다.

▽추진 상황=울산시와 한국감정원은 최근 울산 울주군 언양읍 사무소에서 설립 예정지의 지주들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토지 보상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을 밝혔다. 울산 국립대는 울주군 언양읍 반연리 일대 80만 평(우선 개발지 30만 평과 추가 확장 가능지 50만 평)에 들어설 예정.

올 11월까지 우선 개발예정지에 대한 감정평가와 보상액을 산정한 뒤 12월부터 본격적인 보상에 들어간다. 보상액 산정기준과 수령절차 등 구체적인 보상계획은 10월에 열리는 2차 주민설명회에서 밝힐 방침이다.

▽사용자 중심의 캠퍼스로=교육부 산하 울산 국립대 건설추진단은 최근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공모에서 서울의 ㈜삼우종합건축사 출품작을 당선작으로 결정했다.

이 당선작은 용지 내 가막못을 그대로 두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에코(Eco) 캠퍼스, 정보화 시대에 부응한 최첨단 유비쿼터스 캠퍼스로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운동장과 기숙사를 주변 마을과 가까운 후문 쪽에 설치하는 등 지역 사회와 함께 이용하는 사용자 중심의 캠퍼스로 꾸민다는 것.

교육부는 12월 말까지 기본설계를 거쳐 내년 6월까지 민간사업자 선정을 마무리한 뒤 2007년 7월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문제점=한국교원대가 울산 국립대 설치 학과에 대해 용역조사 중이지만 교육부총리의 장기간 공석과 울산시-교육부 간의 이견 등으로 설치대상 학과가 확정되지 않았다.

시는 학부 과정에 사범대가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교육부는 기존 교원도 몇 년 후에는 공급 과잉이라며 대학원 과정에만 교원 양성학과를 개설한다는 계획이다.

또 토곡마을 등 땅 소유주들은 “이주할 땅이 없는 데다 이주하면 생계가 막막하다”며 아예 국립대 용지에서 제외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장한연 추진기획단장은 “9월 말까지 설치 학과가 확정되고 편입지역 주민에 대한 이주대책을 마련하면 2009년 3월 개교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 국립대는 4년제 대학이 사립대 한 곳뿐인 울산에 국립대를 신설해 달라는 건의를 정부가 지난해 9월 수용하면서 본격 추진돼 왔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