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서울 임대주택 10만채 더 짓는다

  • 입력 2006년 9월 12일 03시 00분


무주택 시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2012년까지 서울 시내에 공공임대주택 10만 채가 추가로 지어진다.

서울시는 2007년부터 6년 동안 매년 1만3000∼2만1000채씩 모두 10만250채의 임대주택을 신규 공급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시의 계획대로라면 입주가 완료되는 2016년이면 현재 건립 중인 8만4000채를 포함해 전체 주택의 10% 수준인 30만 채가 임대주택으로 활용된다.

이를 위해 시는 재건축(1만4050채), 재개발(1만4500채), 뉴타운(4만2960채), 미개발지구 개발(1만740채), 다가구(9000채) 등의 사업을 통해 임대주택을 새로 짓기로 했다.

또 뉴타운 2, 3차 지구 내에서도 개발시기가 늦은 지역에서는 상태가 양호한 다가구 주택 9000채를 매입한 뒤 임대주택으로 공급해 임대료 부담으로 재정착이 어려운 세입자나 공사기간 중의 주거문제를 해소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서울시는 그동안 소형 평형 위주로 공급되던 임대주택의 평형을 다양화해 입주민들이 가구원 수와 소득수준에 따라 적정한 평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평형별로 18평형 3만3000채, 22평형 2만6000채, 26평형 2만6000채, 33평형 1만4000채가 각각 공급된다.

시는 이를 통해 6월 30일 현재 임대주택 총 물량의 6%에 불과한 18평형(전용면적 12평) 초과 주택을 2016년까지 4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또 도심과 부도심 역세권의 시유지, 국공유지 등을 활용해 도시근로자를 위한 1만700채의 임대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그동안 임대주택이 주로 도심 외곽에 건설돼 실거주자들이 직장과의 교통이 불편하고, 생활기반 시설이 부족하다고 문제를 제기해 왔다.

한편 서울시는 건립 중인 마포구 상암2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1, 2층에 노인전용 임대주택 3700채를 공급하기로 했다. 이 주택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안전을 고려해 미끄럼 방지시설, 비상연락장치 등이 설치된다.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