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대입 논술비중 확대…논술만 잘하면 된다? 그 오해와 진실

  • 입력 2006년 9월 19일 02시 59분


주요 대학들이 2008학년도 대학입시에서 논술고사 반영비율을 늘리기로 하자 일각에선 논술이 당락을 좌우하는 사실상의 본고사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서울대는 정시모집에서 논술 반영비율을 현재 10%에서 30%로 늘리겠다고 발표했으며 다른 대학들도 논술 비중을 10∼20%로 늘릴 계획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논술의 비중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학생과 학부모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이나 학교생활기록부가 당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착각이라고 지적한다. 2008학년도 대입에서 수능 내신 논술을 둘러싼 수험생의 오해와 진실을 정리한다.

○ 수능 영향력 줄었어도 여전히 강력한 평가 기준

내신만 좋아선 대학에 갈 수 없다. 수능이 9등급화돼 영향력이 다소 줄었을지라도 여전히 강력한 평가기준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서울대는 수능을 자격고사화하기 때문에 수능 2등급이 안 되면 응시 기회 자체가 봉쇄된다. 지금까진 수능에서 부족한 점수를 학생부나 논술로 만회할 수 있었으나 일단 등급이 낮으면 이런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 학생부를 중심으로 뽑는 지역균형이나 특기자전형에서도 수능 2등급 이내인 영역이 2개 이상이어야 한다.

대성학원 이영덕 평가이사는 “서울대는 1, 2등급, 고려대 연세대 등은 2등급은 되어야 합격할 수 있다”며 “수험생이 원하는 등급을 받으려면 수능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 “학생부는 기본”… 비슷한 학생끼리 경쟁 땐 큰 무기

학생부는 기본이다. 실질반영률이 낮으면 영향력이 크지 않다고 단정하기 쉽지만 비슷한 학생끼리 경쟁한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학생부에 9등급이 적용되면 대학들은 과목별 등급을 점수화해 활용할 개연성이 높다. 대학들은 등급별로 1∼2점의 차이를 두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서울대 입학관리본부 김경범 연구교수는 “2006학년도 입시의 학생부 실질반영률이 2.28%로 낮다고 하지만 상위권 학생 사이에선 소수점 점수차도 큰 변별력이 있다”고 말했다.

○ “논술이 전부?”… 논술 점수 따라 당락 10∼44% 뒤바뀌어

일부는 사실이고 일부는 틀린 말이기도 하다. 새 입시제도에서 논술 비중이 강화된 것은 사실이다. 주요 대학 전형 결과를 보면 대체로 수능이나 학생부로 안정권이었던 수험생이 논술 점수에 따라 당락이 뒤바뀌는 비율이 10∼44%이다. 서울대는 2006학년도에 24.8%가 바뀌었다. 반영비율을 높이면 이 비율은 더 커질 수 있다.

각 대학은 논술로 당락을 바꿀 수 있는 점수는 100점 만점 가운데 5점 안팎이라고 보고 있다. 논술은 수능과 학생부 중심인 1단계 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2단계에서 실시하기 때문에 대학들이 기본 점수를 줘도 미세한 차이로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수험생이 논술에 매달릴 필요는 없다. 논술을 치르는 대학은 20개 안팎이다. 나머지 대학 지망생은 논술과 별 상관이 없다고 봐도 된다.

○ “대입은 월드컵”… 논술 수능 학생부 모두 소홀히 하지 말라

축구팀이 월드컵 예선을 통과해 결승전에 진출하기 힘든 것처럼 수능 내신 논술 어느 하나라도 소홀히 해선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없다.

김영일 중앙학원 원장은 “논술이 중요하다고 하니까 수능을 가볍게 보는 경향이 있다”며 “학생부 성적과 수능 등급 향상에 대한 노력은 기본이며 논술 준비도 철저히 해야 하기 때문에 수험생의 부담이 예전에 비해 늘어났다”고 말했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 클릭후 새창으로 뜨는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우측하단에 나타나는 를 클릭하시면 크게볼 수 있습니다.)


이인철 기자 inchul@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