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 주말에 이어 4일 오전에도 화물 물동량 차질이 크지 않고, 화물연대도 5일 표준요율제, 노동기본권 보장 등 내용이 담긴 관련법 개정안의 국회 건교위 처리 과정을 보면서 집단 행동 수위를 조절할 예정이라 당분간 소강 상태를 보일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법안이 통과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오는 5일을 기점으로 화물차 운송업자들이 집단 운송거부 침여율이 높아지고 비화물연대 차량에 대한 파손 행위 등 실력 행사가 심해질 수 있어 정부는 긴장을 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건교부는 파업대응 메뉴얼에 따라 대응강도 4단계 중 두번째인 '주의' 단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추후 상황을 봐가며 '경계' 단계까지 올릴지 여부도 검토 중이다.
4일 부산항 각 부두는 평소와 비슷한 수준의 화물 반출입이 이뤄졌으며 부두 내 장치장에 있던 컨테이너를 부두 밖으로 빼내는 작업이 부지런히 진행돼 이날 오전 9시 기준 부두 장치율은 55%를 나타내고 있다.
또 대부분의 부두에서 평소 대비 70~90% 수준으로 화물 반출입 이뤄지는 등 물류 차질은 그다지 빚어지지 않고 있다.
건교부는 화물연대 운송거부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다양한 대책을 통해 물동량 공백 사태를 메울 계획이다.
건교부는 만약을 대비해 철도 수송을 늘리며 군컨테이너를 동원하고 자가용 화물차까지 긴급 투입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건교부측은 "현재까지는 큰 차질없이 물류 수송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하지만 앞으로 화물연대의 운송거부 사태가 심해지면 경찰의 엄정 대처를 포함해 건교부 또한 각종 대비책을 동원해 물류 차질을 최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동원기자 davis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