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공무원 연금뿐만 아니라 군인·사학연금에 대한 개혁안도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일 기획예산처 행정자치부 국방부 등에 따르면 2030년 공무원연금은 18조100억 원, 사학연금과 군인연금은 각각 5조7500억 원과 1조9830억 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전망됐다. 다 합하면 25조7430억 원에 이른다.
공무원연금은 이미 올해 6700억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앞으로는 △2010년 2조1430억 원 △2020년 8조9890억 원 △2030년 18조100억 원 △2040년 24조150억 원 등 적자가 눈 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보인다.
군인연금의 적자규모도 올해 9260억 원에서 △2010년 1조2270억 원 △2020년 1조4110억 원 △2030년 1조9830억 원 △2040년 3조260억 원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건전한 사학연금도 현 상태라면 2018년 처음으로 1980억 원 적자를 내는 것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1조170억 원, 2030년에는 5조7500억 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예산처는 국민연금도 개혁에 실패하면 2036년부터 적자로 돌아서 2040년에는 97조9640억 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일단 3개 특수직역 연금 중 덩치가 큰 공무원연금의 개혁 과정을 지켜본 뒤 사학 및 군인연금의 개혁 모델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장병완 예산처장관은 최근 "공무원·군인연금 등의 특수성은 고려해야 하지만 재정의 지속 가능성이 유지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혁해야 한다"며 "수급자가 늘어날수록 개혁이 더 어려워지는 만큼 하루 빨리 개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정부는 8월 국가전략보고서인 '비전 2030'을 통해 연금지급액을 낮추는 등 특수직역 연금의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승헌기자 ddr@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