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학교 돈을 횡령하거나 교직원 자녀를 부정입학시키는 등 비리를 저지른 대학들이 교육인적자원부 감사에서 무더기로 적발됐다.
교육부는 지난해 전국 85개 대학과 16개 교육청, 교육부 직속기관 및 소속단체, 재외한국학교 등 모두 108개 기관을 감사해 248명을 징계하는 등 행정 재정적 조치를 취했다고 23일 밝혔다.
교육부는 혐의가 무거운 6개 사립학교법인의 임원 21명에 대해 선임무효 또는 취임승인취소 처분을 내리고, 8개 기관 20명을 검찰에 고발하거나 수사자료를 보냈다. 또 징계 248명, 경고 738명, 주의 226명 등 모두 1212명에게 신분상의 조치를 취했다.
교육부는 대학과 짜고 리베이트 등을 주고받은 민간업체 15곳을 국세청에 통보하고, 95개 대학에서 유용된 708여억 원을 회수했다.
비리 유형은 교비 유용, 부정 입학, 부적격 교수 임용, 학사관리 부실 등 다양했다.
S대는 먼 곳에 사는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지 않고 월 1회 세미나나 과제물만으로 학점을 줬다가 적발됐다. 이렇게 학점을 받은 학생이 정원의 62%나 된다. 교육부는 “학장을 해임했으나 학생들을 제재할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A대는 200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지원 자격에 미달하는 교직원 자녀 등 34명을 1, 2차 전형에서 합격시켰다가 들통이 났다.
Y대는 중국어 전임교원을 채용하면서 성악 전공자를 뽑았고, A대는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를 선발한다고 공고했으나 학사학위자를 교원으로 뽑기도 했다.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