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不 정책, 뭐가 옳은지 하나씩 따져보자”

  • 입력 2007년 3월 24일 03시 01분


대학입시 3불(不)정책(본고사, 고교등급제, 기여입학제 금지)을 둘러싼 논쟁이 정치권과 대학가, 사회단체 등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22일에 이어 23일에도 3불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지만 일부 누리꾼은 국민의 여론 수렴을 요구하고 있다.

▽엇갈리는 찬반론=23일 3불정책의 폐지를 거론한 서울대 장기발전계획위원회와 한국사립대총장협의회 관계자들은 말을 아꼈지만 교원 학부모단체 등이 잇달아 견해를 밝혔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인 권영건 안동대 총장은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3불정책을 없애 실익을 볼 대학은 10%도 안 되고 지방대는 3불정책을 필요로 할 것”이라며 3불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22, 23일 잇따라 낸 성명에서 “3불정책은 교육 형평성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며 “정부는 3불정책 폐지를 촉구하는 대학을 엄중히 제재하라”고 요구했다.

전국교수노조도 “최소한의 평등을 위해 3불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으며 민주노총은 “대학이 우수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이기주의를 부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김신일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이날 충북교육청을 방문해 “대학은 자율성이라는 이유로 초중고교의 정상적인 교육 과정을 무시하고 있다”면서 “3불정책은 어느 정부에서도 지켜져야 한다”고 말했다.

3불 정책의 즉각적인 폐지를 촉구하는 성명도 이어졌다.

바른교육권실천행동은 “교육부는 평준화로 학생들의 능력을 마음대로 자르거나 늘리고 있다”면서 “대학의 학생선발권과 학생의 학교선택권이 공교육 정상화의 희망”이라고 말했다.

자유교원조합은 “평준화가 조기유학, 교육이민을 부추기고 있다”면서 “대학별로 특성화된 입시 제도를 통해 인재를 육성하라”고 촉구했다.

3불정책을 둘러싼 공방은 정치권으로도 번졌다.

한나라당은 논평을 통해 “3불정책은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입시제도의 ‘불편’, 대학의 ‘불만’이라는 3불을 초래했다”면서 “대학의 자율권 확대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3불정책의 근본적인 수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민주노동당은 3불정책의 근간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쟁점 분리 여론도=3불정책을 쟁점별로 다루자는 안도 나왔다. 정부와 대학이 ‘3불정책’ 전체를 놓고 대립하면 발전적 논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대학의 자율성과 중등교육 정상화 등을 두루 고려할 때 3불정책을 공론화할 때가 됐다”면서 “기여입학제는 시기상조지만 본고사는 획일적 지필고사가 아니라면 모집단위별로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고교 간 학력차를 입시에 반영할 장치를 마련하자”고 말해 고교등급제를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주요 대학들은 본고사와 고교등급제를 분리해 먼저 논의하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국민감정이나 현실을 감안할 때 기여입학제를 논의하기에는 이르다고 보고 있다.

다음,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선 ‘3불정책’이 검색어 상위권으로 올랐다. 일부 누리꾼은 ‘3불정책에 단편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3가지 사안을 떼어 놓고 국민의 의견을 수렴할 공론의 장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