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씨는 “딸아이가 최근 세계사 책을 열심히 읽고 있어 중국, 인도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를 선택했다”며 “자기 돈이 투자되는 나라라고 하니까 이 나라를 대하는 눈빛이 달라졌다”고 했다.
‘자녀와 서점에 가듯 금융회사에 가라.’ 경제교육 전문가라면 누구나 강조하는 조언이다. 독서 습관을 길러 주기 위해 자주 서점에 데려가는 것처럼 금융회사에 가는 것만으로도 좋은 경제교육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회사를 자주 들락거리면 자연스레 그곳의 기능에 익숙해지고 ‘경제적 마인드’를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금융회사들도 ‘경제 교육’을 강조한 ‘자녀 대상 금융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 ‘경제교육 vs 자금마련’ 목적부터 정해야
자녀를 위해 금융상품 가입을 고려한다면 가입 목적을 명확히 해야 한다. 경제 교육이 목적이라면 가입기간을 짧게 하면서 예·적금과 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게 좋다.
이윤실 우리투자증권 영업기획부 대리는 “자녀 대상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고객은 대부분 수익률보다 경제 교육에 관심이 많다”며 “각 금융상품이 제공하는 경제교육 캠프 같은 내용을 상세히 비교해 볼 것”을 조언했다.
하지만 학자금 등 장래 필요한 자금 마련에 중점을 둔다면 비교적 만기를 길게 유지하면서 주식형펀드처럼 기대수익률이 높은 상품에 관심을 둬야 한다. 만기가 긴 금융상품에서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複利) 효과를 기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연 10% 이율의 적금에 월 50만 원을 꼬박꼬박 저축할 경우 3년 뒤엔 원금 1800만 원에다 약 290만 원의 이자가 붙는다. 하지만 5년 뒤엔 원금 3000만 원과 함께 이자는 복리 효과 덕에 870만 원으로 크게 불어난다.
○ 은행, 안정적이지만 수익은 거의 없어
은행은 경제 교육을 시작하기에 안성맞춤인 곳이다. 원금이 보장되고 상품 구조가 단순한 저축 상품을 다루고 있어 금융을 이해하고 저축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수익률 면에선 권할 만한 대상은 아니다.
국민은행의 어린이 대상 금융상품인 ‘캥거루통장’의 연 이자율은 3.65%다. 불입금을 자동이체하고 2년 이상 저축하더라도 연 3.95%다. 이자소득세와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만기 때 ‘실질가치’는 원금에도 못 미칠 소지가 있다. 게다가 국내 은행권의 금융상품에선 복리 상품보다 단리(單利) 상품이 많다.
국민은행의 한 관계자는 “캥거루통장도 단리 상품이어서 만기 2년마다 재예치하면 2년 단위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은행에서 제공하는 ‘자녀용 금융상품’을 선택할 땐 부가서비스를 꼼꼼히 비교하는 게 더 나을 수 있다.
○ 펀드, 위험은 크지만 기대 수익률 높아
펀드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경제의 ‘세계’는 훨씬 넓다.
주요 투자 대상인 주식은 기업과 자본시장의 핵심이고 최근엔 펀드의 투자 대상이 주식에서 부동산, 원자재 등으로 다양해지고 해외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채권 한국밸류자산운용 전무는 “한국의 대표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인덱스펀드’부터 가입한 뒤 배당펀드, 기업지배구조펀드 등으로 범위를 넓혀 가면 경제 공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만큼 기대 수익률도 높다.
수익률로 펀드를 비교할 땐 위험자산 비중과 수익률을 함께 봐야 한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주식 투자 비중이 60% 이상인 펀드의 수익률은 당연히 주식 투자 비중이 30% 이하인 펀드보다 높아야 한다. 원금 손실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국내 증권사들이 내놓은 자녀 대상 펀드는 투자 대상이나 운용 철학 등에서 일반 펀드와 크게 차이가 없다. 은행권처럼 ‘눈높이 운용 보고서’를 발간하거나 금융교육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할 뿐이다.
이나연 기자 larosa@donga.com
은행의 자녀 대상 저축 상품 | ||
금융회사 | 상품 | 상품 내용 |
국민은행 | 캥거루통장 | ―성장 단계별 다양한 위험 보장 등 자녀종합보험 가입 ―서울대(어린이)병원 후원 등 사회공헌활동 참여 |
신한은행 | 새싹사랑적금 | ―통장 이름을 고객의 취향에 맞게 자유롭게 지정 ―잔액 10만 원 이상의 경우 무료 상해보험 가입 |
하나은행 | 신꿈나무적금 | ―무료 상해보험 가입 및 무료 온라인교육 서비스 ―최저가입금액 5만 원, 3년 단위로 자동 재예치 |
우리은행 | 우리사랑가득찬자유적금 | ―에듀피아 1개월 무료서비스 ―유료 학습(자두스쿨) 서비스 신청 시 최고 40% 할인 혜택 ―24시간 상해입원의료비, 소아 3대 암치료비 등 보험 혜택 |
농협 | 평생우대주니어적금 | ―주니어종합상해공제(보험) 무료 가입 ―자동이체(전자금융) 이용계좌 약정이율 우대 ―교육자금 대출금리 우대(1000만 원 이내 대출) |
기업은행 | 성공날개통장 | ―부모(가족)의 거래 실적에 따른 우대서비스 제공 ―사이버 문화센터 무료 수강, 인터넷서점 할인쿠폰 제공 |
수익률은 4월 6일 기준. 자료: 각 회사 |
금융회사별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 펀드 | |||||
상품 | 주요판매사 | 수익률(%) | 특징 | ||
3개월 | 1년 | 누적 | |||
우리-쥬니어네이버 펀드 | 우리증권 | 8.49 | 7.80 | 33.81 | ―연 1회 100명 인원의 경제캠프 |
삼성착한아이 예쁜아이 펀드클래스 A | 삼성증권 | 6.35 | 8.62 | 7.99 | ―어린이용 ‘운용보고서’ 제공 ―연간 4회, 100명씩 경제교육 |
자녀사랑메신저 | 대우증권 | 5.33 | 10.98 | 39.36 | ―월 1회 성과 보고서 제공 |
탑스엄마사랑적립식주식형 | 굿모닝신한증권 | 9.20 | 13.0 | 71.75 | ―온라인 어린이경제교실 운영 |
꿈나무적립주식1클래스C1 | 대신증권 | 6.75 | 7.07 | 123.69 | ―배당수익이 높은 기업이나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종목에 집중 투자 |
우리아이3억만들기펀드G1 | 미래에셋증권 | 7.61 | 10.87 | 75.62 | ―3개월마다 ‘눈높이운용보고서’ ―어린이 금융교육 사이트 운용 |
자료: 각 은행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