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장과 실·국장은 물론 직속기관장, 구청과 군청 간부들이 참석해 현안을 보고하고 토의하며 지시를 받는 자리다. 본청 실·국장 등은 시장을 수시로 만나 업무보고를 하고 지시를 받기에 주간 업무보고회는 그동안 각 구청과 군청에서 시에 건의사항을 전달하는 통로로 요긴하게 활용돼 왔다.
그러나 9일 열린 보고회에 울주군에서는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다. 지난달 26일에 이어 두 번째다. 엄창섭 울주군수는 “울주군에서도 월요일 오전마다 현안사업 점검 회의를 해야 하기 때문에 불참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그는 “시의 주간 업무보고회에 불참한다고 시와 군 간에 업무 협조가 안 될 이유가 없다”고 했지만 “굳이 시와 비슷한 시간대에 군이 업무보고회를 왜 열까”라며 고개를 갸우뚱하는 공무원이 많다. 시의 업무보고회는 광역시 승격(1997년 7월) 이후 10년째 월요일 오전에 열려온 전통이기에 더욱 그렇다.
최근 불거진 인사문제도 마찬가지다.
엄 군수는 시가 행사해온 4, 5급 공무원 인사권을 울주군에 돌려줄 것을 요구했다. “울주군이 독자적으로 인사권을 행사하면 시와의 인사교류가 단절되고 기초단체 소속 직원들의 승진기회가 줄어든다”며 나머지 4개 구청장들은 반대하고 있지만 엄 군수는 ‘법대로’를 외치며 주장을 꺾지 않고 있다.
울주군이 지난해 ‘영남알프스’를 ‘울주 7봉’으로 일방적으로 명칭을 바꿔버린 데 대해서도 시는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다.
기초단체가 사사건건 광역단체를 무시하고 치받는 모양새가 지방자치제의 본 모습으로 보기엔 너무 볼썽사나운 게 요즘 울산의 모습이다.
자치단체 간의 잦은 마찰은 결국 주민 피해로 이어진다는 점을 명심했으면 한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