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육연구소 전창완(부산혜광고 교사) 연구위원은 ‘한국교육’ 4월호에 실은 ‘우리나라 교육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분석’에서 공교육 재정 투자를 늘릴 경우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 능력을 높여 사교육 시장이 커지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부담률은 1997년 5.5%에서 2005년 6.2%로 늘어나면서 가계의 공교육비 부담률이 2.9%에서 2.7%로 떨어졌다. 이 기간에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률은 1997년 3.2%에서 2005년 4.4%까지 높아졌고 사교육 종사자는 23만7466명에서 41만1562명으로 73.3%나 급증했다.
공교육비 부담이 줄면서 생긴 여유만큼 자녀를 위한 사교육에 더 투자하는 데다 공교육과 사교육 시장이 별개로 움직이기 때문에 사교육 감소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사교육은 임금 수준이 공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학원들이 번창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실제 국내 전체 산업의 평균임금을 1로 볼 때 2005년 공교육 기관의 평균임금지수는 1.83이지만 사교육시장의 임금지수는 1.13이었다.
게다가 교육 수요가 다양해질수록 진입장벽이 낮은 사교육 시장은 더 확대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전 연구위원은 “공교육에 투자를 늘려야 하지만 현재는 공교육과 사교육의 이중구조가 고착화돼 공교육비가 늘어나더라도 사교육비가 줄어들지 않는 특이한 상황”이라며 “정부가 사교육 억제에 매달리기보다 바우처제도(사교육수강권제도) 등을 통해 방과후 학교를 사교육 시장으로 넘기는 등 적극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창봉 기자 ceric@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