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올라서…”대전 미래산업단지 주춤

  • 입력 2007년 6월 30일 03시 00분


■수도권

서울 ‘강북 자사고 설립’ 용지매입 단계

경기 ‘도립 교원대 설립’ 종합대로 선회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해 지방선거를 치르면서 본보에 △강북 도심 부활 프로젝트 △환경 일류 도시 서울 △균형발전으로 강남·북이 열린 서울 등 3대 핵심 공약을 제시했다.

강북 도심 부활 프로젝트 일환으로는 청계천 주변에 4개의 도심 남북 축 조성사업을 착수했고,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및 복합문화센터 건립 계획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관용차량 및 공공차량의 공해 저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체되는 시내버스, 마을버스, 관용청소차량 등을 저공해 차량(CNG버스 등)으로 교체했다. 물론 임기가 1년밖에 지나지 않아 서울시의 공해 문제가 어느 정도 개선되고 있는지는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오 시장은 강북에 자립형 학교를 설립하겠다고 공약했는데, 현재 터 매입 단계다.

김문수 경기지사의 3대 공약은 △수도권 정비계획법 폐지 등을 골자로 하는 ‘경기야 날자꾸나’ △체계적인 도로 정비를 위한 ‘사통팔달 경기도’ △뉴타운과 연계한 구도심 재개발이 핵심인 ‘골고루 잘사는 경기도’다.

경기도는 최근 수도권 접경지역과 미군 공여지 등을 정비발전지구에 포함토록 하는 법령 개정을 건의했고, 이 부분이 국회에서 논의 중이다. ‘수도권 제2외곽 순환고속도로’, ‘남북 7축 도로망’ 건설은 이미 착수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 도립 교원대를 설립하겠다고 공약했는데 종합대학(가칭 ‘경기국립대학’) 설립 쪽으로 방향을 틀어 추진 중이다. 구시가지 개발 사업은 11개 뉴타운 사업지구를 지정했고, 부천 소사지구는 27일 건설교통부 시범 지구로 지정됐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도시재생사업 △쾌적한 환경 만들기 △국제적인 교육환경 조성을 3대 공약으로 제시했다. 대부분 추진 단계이며 인천전문대학을 평생교육중심대학으로 육성하겠다는 공약은 완료됐다.

■충청 강원

충남 ‘1시간 생활권’ 추진 상황 안밝혀

강원 ‘일자리 5만개 창출’ 인맥DB 구축

박성효 대전시장은 작년 지방선거에서 △3000만 그루 나무 심기 △원도심 U턴 프로젝트 △미래산업 단지 100만 평 조성 등을 3대 공약으로 제시했다.

대전시는 2020년까지 나무 3000만 그루를 심을 계획으로 작년부터 매년 200만 그루씩을 심어 오고 있다. ‘원도심 U턴 프로젝트’ 공약은 아직까지 추진 상황이 더딘 편이다. 구체적으로 사업이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대전발전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한 상태다. ‘미래산업 단지 100만 평 조성’ 공약은 지나치게 지가가 상승해 난항을 겪고 있다.

이완구 충남지사는 △U(유비쿼터스)충남, U농촌 건설 △충남 1시간 생활권 건설 △충남광고공사 설립을 3대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다.

충남도는 현재 U농촌을 건설하기 위해 정보화 지원 사업을 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충남 1시간 생활권 건설’을 위해 행정중심복합도시와 도청 신시가지를 연결하는 도로 건설 공약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추진 상황을 밝히지 않았다.

정우택 충북지사는 지난 선거에서 △체계적 균형발전 방안 강구 △충북 발전 가능성 극대화 △지역경제 활성화를 3대 공약으로 내세웠다.

먼저 충북도는 체계적 균형발전을 위해 ‘균형발전추진단’을 새로 구성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충북 발전 가능성 극대화’를 위해 오송·오창을 아우르는 대덕 연구개발(R&D)특구 개발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공약은 더디게 추진 중이다. ‘지역경제 활성화’ 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우수 향토기업에 대한 ‘기업인 예우조례’를 만들었다.

김진선 강원지사는 △800개 기업 유치와 5만 개 일자리 창출 △농어촌 활력 증진 사업 추진 △복지예산 확대 및 ‘맞춤형 복지정책’ 강화를 3대 공약으로 본보에 제시했다.

강원도는 ‘800개 기업 유치와 5만 개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 인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또 농어촌진흥기금 1000억 원을 운영해 매년 150억 원을 400여 농어가에 지원하는 등 농어촌 활력 증진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복지예산은 2010년까지 도 예산의 25% 수준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특별취재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