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의 강한 반대에 부닥쳐 불허로 결론이 났지만 막대한 경제 효과와 랜드마크 건립이란 명분은 외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서울시에서는 공공연히 “정권이 바뀌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롯데그룹도 행정소송까지 검토하겠다며 사업 추진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그러나 행정협의조정위원회에서 한번 결론 난 사항이므로 쉽게 뒤집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4년 줄다리기, 일단 국방부 승리=서울시와 국방부는 제2롯데월드 건립을 놓고 1994년부터 14년째 줄다리기를 해 왔다.
서울시는 1994년 롯데가 사업을 처음 추진할 때부터 군용항공기지법상 초고층 건립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공군은 인근 서울공항을 이용하는 전투기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
서울시가 지난해 해당 지역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을 가결시키자 국방부는 국무조정실에 행정협의조정위원회 개최를 신청하며 맞섰다.
건물의 높이와 관련해 군 조종사들은 제2롯데월드가 비행 안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민간 조종사들은 서울공항의 착륙비행로를 미세 조정하는 정도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결국 이날 불허로 결정 나면서 서울시와 국방부의 14년 줄다리기는 국방부의 승리로 끝났다.
▽“정권 바뀌면…”=서울시 고위 당국자는 최근 “현 정권 임기 내에서는 (제2롯데월드 건립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는 내년 새 정부가 출범하면 가능성을 타진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또 최고 권력층의 정치적 결단이나 여론의 방향에 따라 제2롯데월드 건립 계획이 다시 부각될 수 있다는 의미로도 받아들여진다.
서울시 이인근 도시계획국장은 “초고층 제2롯데월드는 건설비만 1조7000억 원에 이르고 2만30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며 “롯데 측이 새로운 제안을 해 오면 서울시는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에서도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이 건재하는 한 제2롯데월드 사업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땅값이 비싸기로 유명한 잠실 지역에서 대규모 용지를 20년 가까이 놀리면서까지 초고층 개발을 준비한 신 회장의 뜻이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날 행정소송 검토 계획을 밝힌 롯데가 층수를 낮춰 개발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국장은 “정부가 행정협의조정위원회에서 최종 불가로 결정했는데 당초 계획대로 112층 건립을 추진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우 기자 libra@donga.com
송진흡 기자 jinhup@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