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5·18 고문현장’에 역사공원 세운다

  • 입력 2007년 9월 4일 06시 59분


최근 5·18사적지로 지정된 광주 옛 ‘505보안부대’(기무부대) 터가 역사공원으로 탈바꿈한다. 이에 따라 ‘지방 청와대’(전남도지사 공관)로부터 시작된 광주시내 공공기관 터에 대한 시민공원화 사업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505보안부대’도 시민 품으로=광주시는 3일 “서구 쌍촌동 기무부대 터를 5·18민주화운동을 알리고 기리는 역사공원으로 조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3만5000m² 규모의 이 부대 터는 1980년 실질적인 신군부 지휘본부가 있던 곳으로 민주인사와 시민군에 대한 예비검속 및 구금, 고문수사가 자행된 5·18 주요현장의 하나로 꼽힌다. 특히 옛 전남도청 등 기존 사적지가 저항과 희생의 성격이 강한 반면 이곳은 신군부의 권위와 폭력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아 온 곳.

기무부대는 2005년 북구 오치동 31사단으로 옮겨 갔으나 강당과 행정동 등은 그대로 남아 그해 6월 5·18사적지로 지정됐다.

시는 수목 조사 등 환경성 검토를 거친 뒤 연말까지 도시계획법상 공원지구로 바꾸고 내년 5월까지 구체적 사업계획을 세워 공원화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공공기관 터 공원화 마무리=광주지역에서 옛 공공기관 터가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온 것은 2003년 서구 농성동 옛 지방 청와대가 처음.

국가정보원 광주지부와 지역 기무부대, 국군광주병원, 한국은행 광주지점, 전남경찰청 차고 터 등도 대상 지역으로 꼽힌다.

시가 당초 소위 ‘권력기관’ 터만을 공원으로 바꾸려고 했던 것은 아니지만,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 접근조차 어려웠던 기관들이 다수 포함돼 ‘달라진 세월’을 실감케 한다.

특히 ‘지방 청와대’의 경우 소유주인 전남도가 152억 원에 공무원용 아파트 용지로 팔아 넘겼으나 시의 발 빠른 대응으로 공원용지로 확정되는 곡절을 겪었다.

30∼50년생 상록수가 숲을 이룬 서구 화정동 옛 국정원 광주지부 터는 맞닿은 옛 국군광주병원 터와 함께 지역 최대규모의 도심공원으로 탈바꿈했다.

광주시 윤광호 환경녹지국장은 “이번 기무부대 터를 끝으로 대부분의 공공시설 터가 시민공원으로 조성돼 그 역사적 의미와 함께 도시환경에 생기를 더하게 돼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김권 기자 goqu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