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직 특채, 속셈은 ‘제식구 챙기기’

  • 입력 2007년 9월 22일 02시 58분


국민고충위, 10명 중 9명이 前 계약-별정직 직원

국민고충처리위원회가 이달 일반직 공무원 특별채용을 통해 뽑은 10명 중 9명이 원래 이 위원회에서 일하던 별정직, 계약직 공무원인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이에 따라 고충위가 ‘공개 모집’의 형식만 빌려 자기 위원회 내 별정직, 계약직 직원들의 신분을 안정적이고 처우가 좋은 일반직으로 바꿔줬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사실을 모르고 지원한 일반 지원자들은 공무원들의 들러리를 서준 셈이다.

고충위는 지난달 31일 홍보, 법률검토 분야 등에서 4급 서기관 1명과 5급 행정사무관 10명 등 모두 11명을 뽑는다며 홈페이지 등에 일반직 공무원 특별채용 공고를 냈다.

특채에는 박사학위 소지자 여러 명을 포함해 71명이 지원해 6.45 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고충위는 서류심사와 면접을 거쳐 예정보다 1명 적은 10명의 최종합격자 명단을 19일 발표했다.

그러나 행정사무관에 합격한 9명은 모두 고충위 내 해당 부서에서 기존에 근무하고 있던 내부인력이었다. 9명 중 4명이 별정직이었고, 5명은 계약직 공무원이었다. 특채에 응시한 고충위 내부 별정직, 계약직 공무원 16명 중 56%가 합격한 것이다.

외부에서 충원된 인력은 4급 서기관으로 채용된 언론사 기자출신 인사가 유일했다.

이번 특채에 원서를 넣었던 한 지원자는 “고충위가 승진제도가 없는 별정직 공무원과 안정성이 떨어지는 계약직 공무원들이 일반직이 될 수 있도록 특채를 이용한 것”이라며 “정부 기관이 이렇게 국민을 우롱하는 일을 벌인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강한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고충위 관계자는 “이번 채용에서는 민간인 2명을 포함한 4명의 심사위원들이 객관적으로 공정하게 심사했다”며 “변호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만 응시할 수 있었던 법률 검토 분야에서는 내부에서만 3명이 지원했을 뿐 외부 지원자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