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광주본부는 26일 “광주시가 관변단체를 동원해 전국체전 기간 집회 장소를 선점하고 민주노총의 집회를 원천봉쇄했다”며 “체전 개막일인 8일 주경기장인 광주월드컵경기장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민노총 측은 “이날 광주시장 등 주요 내빈의 개막식 입장을 막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민노총은 체전 기간 내내 성화 봉송길이나 마라톤 코스, 각종 경기장에서도 집회와 시위를 강행할 것으로 알려져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민노총은 3월 시가 청사 청소용역업체를 바꾸면서 해당 직원들을 해고하자 이를 비정규직 노동자 탄압으로 규정하고 그동안 ‘전원 원직 복직’을 요구해 왔다.
이들은 이와 관련해 이번 체전 기간 경기장 주변에서 집회를 열 예정이었으나 장애인 무료차량봉사대 등의 단체들이 미리 해당 장소에 집회 신고를 내자 “시가 관변단체를 동원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시의 태도는 강경하다. 시의 강경 대응은 지난해 11월 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시위 때의 시청사 피습이 발단이 됐다.
시 고위관계자는 당시 “‘FTA 협상 저지’와 시청사 파괴가 무슨 연관이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파괴에 앞장선 세력이 민노총 조합원들이었다”며 강경 대응을 천명했다.
이어 시는 7월 민노총 광주본부 측에 사무실 임대보증금 명목으로 지원한 3억 원의 반환을 요구하고 최근 잇따라 법원에 시청사 앞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는 등 분위기를 누그러뜨리지 않고 있다.
민노총 측은 “시가 사사건건 감정적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FTA, 비정규직 문제 등에 대해 열린 시각으로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맞서 양측의 갈등은 쉽게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권 기자 goqud@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