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사업에 지원해 1곳만 1차 합격한 한국외국어대는 “연구 실적 등에 대한 심사가 졸속인 데다 심사 기준도 일관성이 없다”며 한국학술진흥재단(학진)에 4일 중국 일본 중남미 러시아 등 4개 지역 심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심사 내용 공개를 요구하는 항의 공문을 보내기로 하는 등 탈락한 대학과 연구소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인문 연구와 해외지역 연구로 나뉘는 인문한국 지원 사업 중 해외지역 연구는 10년간 20개 연구소에 연간 각 5억∼8억 원을 지원하게 된다.
학진이 지난달 21일 발표한 1차 예비심사 결과 해외지역 연구에 지원한 51개 연구소 중 12곳이 후보로 선정됐다.
그러나 해당 전공의 대학원 과정이 없거나 연구 실적이 떨어지는 신생 연구소가 선정된 사실 등이 알려지면서 탈락한 대학들이 반발하고 있다.
인문한국 지원사업 해외지역 연구 분야 1차 심사 선정 결과 | ||
지역 | 대학 및 연구소 | 과제명 |
중국 | 고려대 중국학연구소 | 중국의 지역성과 문화 역학 |
부산대 중국연구소 | 중국의 인류 물류 지류의 네트워크 조사와 데이터 구축 | |
일본 | 고려대 일본학연구센터 | 일본 연구의 세계적 거점 구축 |
국민대 일본학연구소 | 일본학을 선도하는 세계적 연구소 육성 | |
러시아 | 고려대 러시아·CIS연구소 | 러시아와 동슬라브벨트, 시베리아, 극동벨트, 중앙아시아벨트의 원심력과 구심력 |
충북대 러시아연구소 | 중국·러시아·몽골 알타이지역 | |
중동 | 한국외국어대 중동연구소 | 중동지역 연구의 토대와 소통 |
중남미 | 부산외국어대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 인문한국 라틴아메리카 지역연구 사업 |
서울대 스페인중남미연구소 | 라틴아메리카 연구 | |
지중해 | 부산외국어대 지중해연구소 | 중동 동지중해 지역의 문명 간 교류 유형 연구 |
아시아 |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 인문한국 지원사업 해외지역 연구(동북아시아) |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 유라시아 정체성과 문명 공존: 유라시아학 체계 정립과 지역종합정보시스템 구축 | |
자료: 한국학술진흥재단 |
러시아 지역의 경우 1년에 10차례 이상 국내외 학술행사를 하는 서울대(1989년 설립)와 한국외국어대(1972년 설립) 연구소 등을 제치고 4년 된 충북대 연구소가 선정된 것에 대해 심사 기준을 납득할 수 없다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
중남미 지역 분야에서 선정된 부산외국어대의 연구소는 대학원에 석박사 과정이 없어 수준 높고 안정적인 연구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개 연구소가 지원했으나 모두 탈락한 아프리카 지역은 심사위원이 북아프리카 전공자여서 사하라 이남 지역을 다룬 지원 과제를 심사하기에 부적합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3팀으로 나뉜 16명의 심사위원이 5일간 합숙 심사를 통해 51개 지원서를 심사한 데다 세부 지역별 전공자가 한두 명에 불과해 심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 연구소 소장은 “심사평을 보면 지원서를 제대로 읽어 보지 않은 것 같다”면서 “학교 예산을 보태 연구원 중 정년 보장 임용 인원을 기준치보다 많이 제시했는데도 ‘학교의 지원 방안이 미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학진이 서울대의 한 연구소에 보낸 탈락 사유에는 ‘인문학에 지나치게 경도돼 있다’고 지적한 반면 한국외국어대의 한 연구소에 보낸 탈락 사유에는 ‘국책사업을 많이 수행해 인문학적 연구를 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상반된 기준을 제시해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도 많다.
이에 대해 학진은 “신생 연구소라도 발전 가능성이 높으면 좋은 평가를 받았다”면서 “탈락한 연구소 중에는 대학의 명성이나 과거 실적만 늘어놓고 핵심인 연구 계획은 부실한 곳도 있었다”고 말했다.
학진은 “심사위원 선정과 지원서 접수가 동시에 이뤄져 지원 과제에 꼭 맞는 심사위원을 선정하지 못한 경우는 있었다”면서 “하지만 객관적인 심사 기준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했고 10월 말 최종 선정 결과와 함께 심사위원 등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