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강원 화천군 산양리 산양초등학교에 다니는 100여 명의 전교생은 대부분 군인 자녀다. 아버지의 근무지에 따라 이르면 1년, 늦어도 2년에 한 번은 이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아침에 창문을 열면 산등성이 사이로 뽀얀 안개가 피어오르고 밤이면 도시 아이들이 영화에서만 볼 수 있는 별이 가득한 곳. 하지만 패밀리레스토랑도 없고, 학원이라고 해 봐야 보습학원 피아노학원 태권도학원이 하나씩 있을 뿐이다.
교실 하나 크기이지만 지난해 산양초교에 ‘작은 도서관 만드는 사람들’(대표 김수연)의 후원으로 ‘마을도서관’이 생긴 것은 ‘획기적 사건’이었다. 도시 생활 경험도 있고 교육열도 높은 이 지역의 엄마들에게 도서관은 ‘필수’나 다름없다. 도시 아이들은 학원을 돌지만 이곳 엄마들은 아이들을 도서관에서 책으로 키운다. 그리고 책을 통해 자신의 경험도 넓혀 간다.
○ 책 읽고 난 뒤 딸과의 데이트
지난해 7월 부산에서 이사 온 김현정(40·6학년 정은주 어머니) 씨는 초등학교 때부터 아이를 힘들게 하기 싫어 학원을 한 번도 보내지 않았다. 학습지도 한번 시키지 않았다.
사람들은 ‘뭘 믿고 그러느냐’고 하지만 독서광인 아버지 덕분에 어릴 때부터 책 읽기 습관이 들었고 부산에서 과학영재로 뽑힌 딸을 보면서 그의 믿음은 흔들리지 않았다.
김 씨는 당초 학교의 마을도서관에 큰 기대를 걸지 않았다. 그러나 은주는 학원을 다니지 않아 오후에 시간이 많이 남았고, 산꼭대기에 있는 군인아파트까지의 하굣길도 걱정됐다. 김 씨는 학교가 파하기 2시간 전쯤 도서관에 나와 책을 읽으며 아이를 기다리기 시작했다. 도서관은 아이와 엄마의 만남의 장소가 됐다.
은주는 수업이 끝난 뒤 도서관으로 엄마를 만나러 와 곁에서 책을 읽는다. 모녀는 도서관이 문을 닫을 때까지 시간 가는 줄 모르다가 어둑해져서야 학교를 나선다. 모녀는 그날 읽은 책을 소재로 이야기를 나눈다. 이들만의 ‘산양리 식 독서토론’이다.
“엄마, ‘백설공주를 사랑한 난쟁이’ 한번 읽어 봐요.”
“은주야. 엄마가 ‘혼자 떠나는 걷기 여행’에서 봤는데, 우리도 거기 한 번 가 볼까?”
○ 도서관에서 찾은 삶의 교훈
지난해 말 대전에서 이사 온 김효진 씨는 이 도서관에서 두 아이(5학년 김나연, 3학년 강택)와 함께 겨울방학을 지냈다. 이사 온 다음 날부터 방학이 시작돼 김 씨는 아이들을 적응시키려고 매일 도서관으로 데리고 나왔다. 점심도 도시락으로 해결하며 책을 읽었다.
개학 후에도 김 씨는 아이들을 데리러 왔다가 기다리는 동안 도서관에서 책을 읽었다. 이왕 시골에 왔으니 귀농과 환경에 관한 책부터 먼저 잡았다. 그러자 김 씨의 일상에 작은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들판을 지나가다 자연도감에서 본 풀 하나, 꽃 하나가 새롭게 다가왔다. 내친김에 ‘숲 해설가’ 과정을 공부했고 조그만 텃밭도 가꾸었다. 수확물은 호박 두 개, 가지 하나…. 못생기고 벌레 먹은 농작물이라 해도 손에 쥐었을 때의 그 기쁨은, 자식 농사와 같았다.
김 씨는 아이들에게 독서만 강조하며 학원에도 보내지 않지만 도시에 사는 여동생과 전화만 해도 조바심이 났다. 그러나 공산품과 달리 오늘 심은 배추를 내일 당장 수확할 순 없다는 게 그가 농사를 통해 얻은 교훈이다.
김 씨는 “자녀 교육이나 농사는 단 한 가지, ‘기다림’”이라며 “아이들은 끌고 가는 게 아니라 밀어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은 아이들이 넓은 세상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그 해답이 책 속에 있다는 점을 마을도서관이 그에게 가르쳐 줬다.
화천=채지영 기자 yourcat@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