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3000여명이 복구 현장에 투입됐지만 각 부처 간의 업무가 혼선을 빚으면서 자원봉사자 관리마저 제대로 안되는 실정이다. 게다가 기름제거 장비도 크게 부족해 사람이 있어도 기름 제거작업을 제대로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복잡한 지휘체계, 업무 혼선 심화
11일 정부 각 부처에 따르면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 행정자치부 환경부 소방방재청 국방부 산업자원부 등 중앙부처와 충남도 등 지방자치단체, 한국해양오염방제조합이 이번 사고 대처 업무를 나눠맡고 있다.
주무 부처인 해수부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고, 행자부는 장관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을 맡고 있다. 또 해경과 방제조합은 바닷물 위에 떠 있는 기름띠를, 각 지자체는 해안으로 밀려온 기름의 처리를 담당하고 있다. 또 환경부는 생태계 피해조사를 맡고 국방부(군)와 산자부 경찰청 산림청이 헬기와 인력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렇게 많은 부처가 참여하고 있고 서로 연락체계가 잘 이뤄지지 않다보니 현장에서는 "도대체 누구의 말을 들으면서 일을 해야 하느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방제 작업을 하는 자원봉사자들은 "컨트롤 타워가 없어 중구난방에 주먹구구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방제조직과 해안 방제 장비를 갖춘 것은 해양경찰청이지만 해안방제 주관기관은 이런 능력이 부족한 각 지자체로 돼 있다.
이런 점들 때문에 이완구 충남지사는 11일 사고현장을 방문한 노무현 대통령에게 국무총리 산하의 전담대책반을 중앙부처와 충남도, 태안군에 설치해줄 것을 건의했다.
이날 노 대통령도 국무회의에서 "사고수습이 잘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며 국무위원들을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2005년 5월 해양수산부가 만든 대형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위기관리 매뉴얼에 적힌 해양오염 신고전화 '지역 주요 국번+5050'은 상당수가 불통이거나 일부 지역에서는 다방 등 엉뚱한 곳으로 연결되기도 했다.
●장비 부족해 방제작업 차질
해양 오염사고에 대한 평소 정부의 안이한 대처로 현장에는 방제장비도 턱 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8월에 울산 앞바다에서 국방, 환경부, 소방방제청 등이 참가한 가운데 대규모 해상 기름 방제 훈련을 실시하고 "사고 3일 이내에 1만6000t 이상의 기름을 걷어낼 수 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사고 5일째인 11일까지 걷어낸 기름은 909t에 불과했다. 해양경찰이 보유한 방제선은 300톤급 이하여서 대형재난에는 한계가 있고 그나마 악천후에는 제구실도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방제작업에 필요한 흡착포의 양은 하루 25t이지만 남아 있는 재고는 5t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흡착포가 부족해지자 방제대책본부는 자원봉사자들에게 지급하는 흡착포의 양을 줄였고 많은 자원봉사자들은 쓰레받기 등으로 기름을 퍼 담고 있다.
이에 대해 방제대책본부 관계자는 "정유회사 등 민간업체가 보유한 흡착포를 최대한 빌려 쓰고, 시프린스 사고 이후 가동을 중단한 흡착포 생산공장의 정상가동을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태안=이세형기자 turtle@donga.com
나성엽기자 cpu@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