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에 맞는 책 읽어야
조금 어려운 책
체계적으로 읽으면
독해력·어휘력도
부쩍 자라요
“김웅(14) 군은 글을 읽으면서 내용을 파악하는 사실적인 사고 능력이 다소 부족합니다. 앞으로 다양한 독서 활동을 통해 이 능력을 개발해야 합니다. 신문을 읽거나 뉴스를 보면서 특정한 정보를 주는 매체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얼마 전 최선영(41) 씨는 아이의 독서 능력 검사결과를 받아본 뒤 깜짝 놀랐다. 평소 아들이 다른 아이들에 비해 책을 많이 읽는다고 생각했는데 의외의 평가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최 씨는 “무조건 책을 많이 읽는 것과 제대로 된 독서 능력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자녀의 책읽기 지도를 위해 독서 능력을 수치화한 지수를 활용하는 방법이 학부모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같은 독서 능력 지수를 활용하면 여러 장점이 있다. 자녀들에게 무작정 책을 읽히는 것이 아니라 능력에 따라 적합한 책을 골라줄 수 있고 잘못된 독서 습관을 바로잡을 수 있다.
최근 노명완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와 한우리 독서논술팀이 개발한 ‘노명완-한우리 독서종합검사’(www.hanuribook.com), 교보문고의 ‘리드 독서검사’(www.kyoboread.com), 한국독서능력개발원과 책누리의 ‘독서능력 검사’(www.readingbook.co.kr) 등이 대표적이다.
한우리 독서종합검사는 초등 1학년부터 중 3을 대상으로 지문을 읽고 이해도를 측정하는 15~20문항의 5지선다형 문제로 구성돼 있다. 측정 시간은 30~40분.
이 검사는 △행의 의미를 이해하는 사실적 읽기 △행간의 의미를 이해하는 추론적 읽기 △행간의 의미를 넘어서 이해하는 창의적 읽기 영역 등으로 구분해 독서 능력을 평가한다. 여기에 독서 태도나 어휘력에 대한 평가는 별도로 진행된다.
교보문고의 리드 독서검사는 △독서력 △어휘력 △독서행동으로 구분된다. 독서능력과 관련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저장돼 아이의 독서 능력 발달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한국독서능력개발원과 책누리가 운영하고 있는 독서능력 평가는 △어휘 △문장 △글내용 이해로 나뉘며 평가 결과는 45개 등급으로 구분돼 제공된다. 이들 평가는 오프라인과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비용은 1만~2만 5000원이다.
○ 무작정 책 읽기는 오히려 악영향
노명완-한우리 독서 종합검사를 받은 초등 1학년 박강희(7) 군은 독서 능력 검사 결과 100점 만점에 총 54점으로 보통 수준의 점수를 받았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사실적 읽기 32점, 추론적 읽기 22점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박 군의 독서가 사실적 읽기에서 낱말이나 구절의 뜻, 그리고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파악하고는 있지만 글쓴이의 의도와 목적을 파악하고 글의 주제를 찾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박 군은 책을 읽은 뒤 주인공이나 사건과 관련된 질문을 통해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하는 독서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
초등 6학년 배고은(12) 양은 사실적 읽기 36점, 추론적 읽기 32점에 초등 3학년부터 추가되는 검사 항목인 창의적 읽기에서 10점을 받아 총 78점을 기록했다.
배 양에게는 좀 더 수준 높은 어휘를 접할 수 있는 독서 지도방법이 제안됐다.
어머니 김진숙(42) 씨는 “아이가 책을 좋아하는데 어떤 책을 어떻게 권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았다”며 “체계적인 독서계획표를 만들어 독서능력을 키워 줄 생각”이라고 말했다.
노명완 교수는 “독서지수에 맞는 책을 골라 읽는 것도 좋지만 처음엔 다소 어렵더라도 자신의 독서지수보다 수준 높은 책을 골라 읽으면 독서지수는 물론이고 지식과 어휘력, 독해력까지 상승하는 효과를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학교 독서 동아리 지도를 담당하고 있는 김주연(29) 교사는 “독서 능력 검사를 몰랐을 때는 단순히 학년이나 나이에 따라 책을 구분해 추천했다”며 “학년에 관계없이 독서 능력이 우수한 아이에게는 그에 맞는 책을 권하는 것이 아이의 발전을 위해서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용 기자 kky@donga.com
노명완-한우리 독서능력 검사 점수 기준표 학년별 영역 등급 점수분포 초등1,2학년 사실,추론 우수 35∼50점 보통 15∼34점 0∼14점 노력필요 초등3,4학년 사실 우수 32∼44점 보통 13∼31점 노력필요 0∼12점 추론 우수 36∼48점 보통 17∼35점 노력필요 0∼16점 창의 우수 6∼8점 보통 3∼5점 노력필요 0∼2점 초등5,6학년 사실,추론 우수 32∼40점 보통 12∼31점 노력필요 0∼11점 창의 우수 16∼20점 보통 7∼15점 노력필요 0∼6점 자료:한우리독서논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