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인(사진) 경북도교육감은 10일 “다음 달 새 정부가 출범하면 교육정책에 엄청난 변화가 예상된다”며 “농어촌이 많은 경북은 ‘적자생존’의 마음가짐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 교육감은 11일 경북 구미시의 교육연수원에서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 등 10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열리는 올해 경북교육 장학설명회에서 ‘긴장과 위기로 무장하지 않으면 경북 교육이 초라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방침이다.
그는 “매년 하는 설명회지만 올해는 확실히 분위기가 다르다”며 “교육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경쟁체제로 가고 있는 만큼 교단을 지키는 선생님들과 행정 공무원들이 진짜 달라지지 않으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가 걱정하는 것은 도시와 농촌이 절반씩 섞여 있는 경북지역 교육의 현실을 어떻게 ‘상향 평준화’하느냐는 점이다.
그는 “‘새 정부가 학교의 학력을 공개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 않느냐”며 “확정된 것은 아니더라도 기본 방향은 ‘학력 강조’가 될 것이어서 농어촌 학교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현재 도시와 농어촌지역 학교의 학력 격차는 상당히 크다.
농어촌 학교는 학생이 감소하는 데다 우수 학생이 도시로 빠져나가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반면에 포항과 구미지역 등의 학교는 대구와 같은 대도시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다.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올해 대입수학능력시험의 전국 수석도 포항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농어촌에 있는 몇몇 고교가 최근 들어 명문 학교로 떠오르고 있다”며 “소규모 학교를 통합해서 지역별 거점학교로 만들어 집중 투자를 하면 오히려 도시 학생이 찾아오는 환경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게다가 경북지역은 결혼을 통해 이주하는 여성들의 자녀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도 중요한 편이다.
현재 경북도내 이주여성 자녀는 유치원생이 133명, 초등학생 651명, 중고교생 71명 등이다. 이는 3년 전에 비해 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도교육청은 이주여성 자녀들의 교육을 위해 전담부서를 설치해 이들의 적응을 돕고 있다.
그는 “이들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소외받지 않고 당당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학력 향상 못지않게 중요한 측면”이라며 “이들을 통해 경북 학생들이 자연스레 국제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방자치단체들이 교육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도록 다양한 활동도 펼 계획이다. 교육과 지방자치가 ‘제 팔 제 흔들기’식으로 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조 교육감은 “경북지역 자치단체가 학교에 부분적으로 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경기도 등에 비하면 아직 소극적인 편”이라며 “도내 43만 학생이 모두 우리의 자녀라는 인식으로 자치단체가 관심을 쏟도록 머리를 맞대겠다”고 밝혔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