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개 안전 기준 통과
향후 10년간 운전허가
어제 전기생산 들어가
3조원 연료절감 효과
○ 연간 연료 대체비용만 3000억 원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지난해 6월 30일 설계수명이 만료돼 가동을 중단했던 고리 1호기(설비용량 58만7000kW)가 향후 10년간 계속운전 허가를 받아 17일 본격적인 전기 생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고리 1호기는 연간 47억6700만 kWh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는 부산 시민의 1년 치 가정용 전력소비량과 비슷하다.
앞으로 10년간 고리 1호기를 재사용함으로써 얻는 경제적 효과도 작지 않다. 일반적으로 원전 1기를 건설하는 데 드는 비용은 2조5000억 원, 건설기간은 10년에 이른다. 노후 원전 재활용에 따른 신규 원전 건설비용을 고스란히 아끼는 셈이다.
고리 1호기를 폐기 처분하면 같은 양의 전력을 화력발전으로 대체하기 위해 연간 석유 90만 t, 석탄 132만 t을 사용해야 한다.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는 고유가를 감안하면 연 3000억 원, 10년간 3조 원의 연료 절감 효과가 있다는 게 한수원 측의 설명이다.
원전 재사용은 국내에선 처음이지만 미국 일본 영국 등 원전 선진국에서는 종종 있는 일이다. 현재 가동 중인 세계 30개국의 원전 444기 가운데 37기가 설계수명 만료 이후 재가동 중이다. 계속운전 승인을 받은 건 48기다.
○ 투명한 운영 통해 주민 신뢰 확보
안전 문제는 고리 1호기가 재가동되기까지 논란이 됐다.
원전 안전성을 평가하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지난해 고리 1호기의 계속운전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고리 1호기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주기적 안전성 평가’ 기준과 미국의 ‘운영허가 갱신’에 적용되는 16개 분야 112개 기준을 적용한 안전성 평가를 모두 통과했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는 적지 않았다. 부산 기장군과 울산 울주군 일부 주민들은 재가동 반대 집회와 단식농성을 하는 등 반발해 왔다.
이에 대해 한수원 측은 “안전에 대한 우려는 설계수명에 대한 잘못된 이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설계수명은 설계 당시 설정한 안전 보증일 뿐 원전 기술이 발달했기 때문에 설계수명 자체가 노후 원전의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는 것.
한수원은 지역 주민들의 우려가 안전성만의 문제라기보다 원전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됐다고 보고 투명한 운영을 통해 주민들의 신뢰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원전 재가동에 앞서 지역 주민들을 초청해 ‘발전소 오픈 데이’ 행사를 연 것도 그런 차원이다.
김종신 한수원 사장은 “총 112개 항목 중 한 가지라도 충족하지 못했다면 계속운전 허가는 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과학기술부의 주기적인 정기검사와 자체 수시검사를 통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창원 기자 chang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