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창업·공장설립 퀵서비스 제도’를 도입한 2003년 이후 공무원들의 창업 민원 처리 속도가 크게 빨라져 시행 5년 만에 법정 민원 처리기한(20일)보다 13일, 목표(10일)보다 3일이 단축된 7일로 줄었다.
이 제도의 덕을 크게 본 대표적 기업이 경북 구미공단 내 ㈜성일텔레콤이다. 성일텔레콤이 울산 울주군 두서면에 자회사인 ㈜성일아이엔티 공장 건립을 추진한 것은 지난해 1월 초. 이 회사는 울산 삼성SDI의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DP) 라인 증설(2007년 7월)에 따른 협력업체로 선정되자 울산에 공장을 짓기로 했다.
라인 증설에 맞추기 위해 공장 설립이 하루라도 급했던 이 회사는 울주군 기업유치단을 방문했고, 울주군은 회사 측이 서류를 갖춰 지난해 1월 8일 공장 설립 허가를 신청하자 하루 만에 농지전용허가 등 7개 사항에 대한 관련 부서 협의에 들어가 일주일 만인 1월 15일 창업사업계획을 승인했다. 이 과정에서 울산시 투자유치단의 지원도 적지 않았다.
공무원들의 발 빠른 처리로 성일아이엔티는 공장 설립에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았고 이 회사는 종업원(250명) 중 100명을 현지 주민으로 고용해 행정서비스에 보답했다.
2004년 박완수 시장이 제안해 전국 최초로 ‘기업사랑 운동’을 시작한 창원시는 5주년을 맞아 이 운동의 재도약을 위한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해마다 4월에 개최하는 기업사랑 축제의 규모를 키우고, 민간인으로 구성된 기업사랑협의회와 함께 각 회사의 사가(社歌)를 CD로 제작해 줄 계획이다. 또 시장실, 회의실, 시민홀을 중소기업체의 외국 바이어 접견과 계약체결 장소로 제공할 예정이다.
경남도도 ‘대불산단 전봇대’ 사건 이후 도지사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김태호 지사는 최근 실국원장 회의에서 “마산의 한 공단은 구상부터 조성 완료까지 행정절차와 보상, 공사 등에 무려 4년 6개월이 걸렸다고 들었다”며 “이 때문에 땅값이 크게 올라가는 만큼 절차 간소화 등을 통해 공장용지 가격을 파격적으로 내릴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달라”고 지시했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