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원]고맙다, 학점은행!… 꿈에 그리던 학사모 썼어요

  • 입력 2008년 2월 14일 02시 58분


《75세라는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배움에 대한 열정으로 학위를 취득한 김찬호 씨, 중학교를 중퇴했으나 뒤늦게 공부해 학사 학위를 취득한 뒤 한국기계연구원에 근무하고 있는 신동훈 씨, 한국 뮤직 비디오에 반해 한국으로 건너와 영화제작을 전공하고 엔터테인먼트 회사에 입사한 일본인 오노 슈타 씨.

이들은 학점은행제를 통해 자신의 꿈을 이뤘다. 평생교육의 장이자 취업과 승진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학점은행제에 대해 알아본다.》

○ 학점은행제

1997년부터 시행된 학점은행제는 ‘학점 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학교뿐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과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하고,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학위를 주는 제도다. 이 제도를 통해 취득한 학사 또는 전문학사 학위는 고등교육법에 의거해 정규 대학에서 수여하는 학위와 법적으로 동등한 효력을 갖는다.

한국교육개발원 학점은행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2007년까지 전문학사 학위 취득자는 3만775명, 학사 학위자는 5만6154명이다. 현재까지 28만여 명이 학점은행제를 통해 평생학습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학점은행제는 고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졌다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가장 큰 장점은 까다로운 입학절차를 거쳐 대학에 입학하지 않아도 학위 취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학점은행제에서는 정규 대학 뿐 아니라 교육인적자원부가 인정한 교육훈련기관의 학점, 시간제 등록 학점, 자격증 취득 학점, 무형문화재 관련 학점, 독학학위제에 따른 학점 등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학점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센터에 학습자 등록을 하고 학점인정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취득 학점은 학점은행제 운영 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영구 보존되고, 취업 및 편입학 때 증빙서류로 발급받아 이용할 수 있다.

학점은행제를 통해 인정받은 학점이 140학점 이상이면 4년제 대학교 졸업에 해당하는 학사, 80학점 이상이면 2년제 대학 졸업에 해당하는 전문학사, 120학점 이상은 3년제 대학 졸업에 해당하는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학점은행제 이용방법과 절차는 학점은행 콜센터(1600-0400)와 홈페이지(www.edubank.ked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학점은행제의 인기 전공

학점은행제를 이용해 학위를 따려면 먼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해야 한다.

현재 학사는 경영학사 등 21개 학사 학위과정에 총 107개 전공을, 전문학사는 언어전문학사 등 13개 전문학사 과정에 총 103개 전공을 개설하고 있다.

학점은행제의 전공은 시대의 변화에 맞춰 다양하게 바뀌고 있다.

지난해 고시된 학점은행제 표준교육과정은 학사 학위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전공을 새롭게 개설했고 한국어교원 2급(문화관광부장관) 또는 3급 자격 취득이 가능하게 됐다.

요즘에는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참여가 높아지면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학사학위 또는 전문학사 학위를 가지고 있고 지정 전공 및 관련 14과목을 이수하면 사회복지사 2급 자격취득이 가능하다.

학점은행제를 통해 보육교사 2급과 건강가정사, 2급 정사서 자격 등도 취득할 수 있다.

현재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기관은 전국에 500여 곳에 이르며 각 기관마다 특징을 살려 운영되고 있다.

학점은행제 업무는 기존에는 한국교육개발원이 담당했으나 15일부터는 새롭게 개원하는 평생교육진흥원이 맡게 된다.

백은순 학점은행센터 소장

■ 학점은행제 이것만은 알고하자

[1] 희망 학위과정과 전공 정하기

우선 학사(대학)와 전문학사(전문대학) 중 자신에게 필요한 학위과정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전공을 ‘표준교육과정’에서 정해야 한다. 학위과정과 전공에 따라 학위에 필요한 요건, 교육과정, 학습방법 등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한다.

[2] 학습방법 설계하기

학점은행제는 교과목 수강으로 이뤄진 대학과 달리 학점 취득방법이 다양하므로 본인의 여건과 기존 취득한 학점의 유무, 선호하는 학습방식, 희망전공 등을 고려해 학습방법을 설계해야 한다. 연간이나 학기당 취득할 수 있는 학점과 1개 교육기관에서 취득할 수 있는 학점, 인정 가능한 자격증 수 등 학점 인정 기준을 미리 숙지한다. 교육기관 담당자와 학점은행제 상담실을 통해 최종적인 상담을 받는다.

[3] 학습자 등록과 학점 인정 신청

학점은행제는 은행에 통장을 개설하여 돈을 입금하듯 학습자로 등록해 자신의 학점을 인정받아야 한다. 학습자 등록은 통장 개설처럼 학위 취득까지 1번만, 학점 인정 신청은 입금처럼 학점을 누적할 때 신청하는 절차다. 1, 4, 7, 10월 정해진 기간에 가능하므로 학점 인정 신청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학위 수여

학위 요건을 충족했다면 정해진 기간(전기 12월15일∼1월15일, 후기 6월15일∼7월15일)에 학위 신청을 해야 한다. 학위 요건을 충족한 것이 확인되면 매년 2월과 8월 학위를 수여한다.

학점은행제 학사, 4년제 대학 학사와 같나요

동등한 학력인정… 대학원 진학 가능

■ Q & A

― 전문대 졸업 뒤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학위를 취득하려면….

“학점은행제로 학사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총 140학점 이상의 학점이 필요하다. 이때 졸업한 전문대 학점은 140학점을 채우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학점은행 표준교육과정을 참고해 취득하고자 하는 전공을 정한 뒤 전문대 학점을 등록하고 부족한 학점을 채워 나가면 된다. 이중 전공은 60학점 이상, 교양은 30학점 이상이 필요하다.”

― 4년제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학점은행제를 통해 사회복지학 학위를 받고 싶은데…

“4년제 학위가 있는 경우 타 전공 학위과정으로 등록이 가능하다. 타 전공 학위의 경우 해당 전공의 전공과목으로만 35학점 이상을 취득하면 된다. 단, 졸업 대학의 학점은 사용할 수 없고 시간제나 교육훈련기관을 통해 모두 새롭게 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참고로 사회복지학으로 학위를 취득할 경우 사회복지사 2급과 관련된 전공과목 42학점(14과목)을 취득하면 학위와 함께 자격증 발급도 가능하다.”

― 학점 인정 신청은 무엇인가.

“학점 인정 신청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취득한 학점을 학점은행제를 통해 인정받는 절차다. 신청을 해야만 정식 학점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가능한 빠른 시기에 학점 인정 결과를 확인한 뒤 학습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 학점은행제에서 인정되는 자격은 어떤 것이 있나.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고시된 자격(국가자격, 국가기술자격, 국가공인 민간자격 중 일부)에 한해 학점으로 인정된다. 자격 학점 인정 기준은 매년 새롭게 고시되므로 반드시 기준을 확인한다. 단, 자격의 경우 학사 과정에서는 최대 3개, 전문학사 과정에서는 최대 2개까지만 인정한다. 전공과 연계되어 있지 않은 자격의 경우 1개만 인정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학위를 따면 4년제 대학교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으로 인정되나?

“‘학점 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대학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으로 인정받는다. 또 학위 취득 뒤 대학원 진학이나 편입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급 학교 진학 자격은 각 대학이나 학칙마다 다르므로 진학을 희망하는 대학의 규정을 살펴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