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06년 6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경기도, 인천시와 함께 수도권 주민 26만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통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서울로 들어오는 승용차의 81.7%가 1인 운전 차량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특히 출근시간대(오전 7∼9시)에 서울로 들어오는 승용차는 87.5%가 ‘나홀로 차량’이었다.
경기와 인천에서 서울을 오가는 차량의 통행비율은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이 52.6%, 승용차가 37.5%였다. 서울시내의 차량 통행비율(대중교통 66.3%, 승용차 21.7%)과 비교할 때 승용차 이용이 많음을 보여준다.
서울시내에서의 교통수단별 분담률은 지하철·철도가 34.7%, 버스가 27.6%였다. 이어 승용차 26.3%, 택시 6.3%의 순.
2002년 조사 때보다 대중교통(지하철 철도 버스)이 1.7% 늘어났고 승용차와 택시는 각각 0.6%와 10.7% 줄었다.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2004년에 도입하는 등 대중교통체계 개편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서울시는 분석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내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이 늘어났지만 경기 인천 지역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승용차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 적극적인 교통대책이 필요하다”며 “간선급행버스(BRT)를 확대하는 등 광역교통기반시설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