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 인상 반대’ 7000명 질서 유지선 준수
도심 극심한 정체… 서울광장 무단점거 논란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대규모 집회가 28일 서울 도심에서 열렸지만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경찰이 불법 시위자를 검거하려고 체포전담조를 배치해 한때 긴장감이 고조됐지만 주최 측은 집회를 평화적으로 마쳤다.
참여연대 등 전국 540여 개 단체가 참여한 ‘등록금 대책을 위한 전국 네트워크’는 이날 오후 3시부터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가 등록금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전국에서 모인 학생 학부모 시민단체 회원 등 7000여 명은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는 퍼포먼스와 함께 집회를 시작했다.
학생들은 돈으로 만든 학사모를 쓰고 ‘등록금 1000만 원 시대’를 풍자했다. 등록금을 상징하는 짐을 어깨에 짊어지고 비틀거리는 모습도 연출했다.
이들은 등록금 인하, 학자금 무이자·저리 대출 확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교육재정 7% 확보 등을 요구했다.
경찰은 집회 참가자의 2배 규모인 1만5000여 명(179개 중대)을 배치한 뒤 “질서 유지선을 침범하는 등 사소한 불법행위도 모두 촬영하겠다”고 경고했다. 체포전담조 300여 명도 대기했다.
주최 측은 “교육의 권리를 요구하는데 체포전담반 투입이 웬 말이냐”고 반발했지만 질서 유지선을 준수했다. 이들은 오후 5시 반부터 서울광장에서 청계광장까지 2km를 행진한 뒤 8시경 해산했다.
체포전담기동대의 김재원 대장은 “도로 행진 시 충돌 가능성이 있어 대기했지만 집회가 질서 있게 진행돼 전담조를 투입할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다.
경찰은 행사가 시작되기 전에 준법집회를 호소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주최 측이 집회를 평화적으로 진행했지만 가두행진으로 퇴근길 교통 혼잡이 심했다. 허가를 받지 않고 서울광장을 사용한 점도 문제.
집회를 주관한 참여연대는 3월 7일과 18일 두 차례에 걸쳐 서울시에 서울광장 사용 신청서를 냈다.
서울시가 “문화행사 외에 사용할 수 없다”며 허가하지 않자 참여연대는 “차라리 과태료를 물겠다”며 집회를 강행했다.
서울광장을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 서울시는 사용료에 20%를 더해 과태료를 물리지만 금액은 시간당 15만 원 정도에 불과하다.
서울시는 “시위대가 허가를 받지 않고 광장에서 집회를 했기 때문에 무단점유를 한 셈”이라고 밝혔다.
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류원식 기자 rew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