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 추적제 내달 시범실시… 원산지 단속 강화
울산시가 고급 한우 생산을 적극 장려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협상 타결로 한우 가격이 떨어질 것에 대비해 ‘브랜드 한우’를 적극 육성하고 쇠고기 유통과정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쇠고기 이력 추적제’를 다음 달부터 시범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쇠고기 이력 추적제는 쇠고기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유통과정을 소비자가 알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정부가 내년부터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시에 따르면 울산축협이 올해부터 특허명 ‘햇토우랑’(햇빛, 흙과 함께 잘 자란 소)으로 출시하는 명품한우를 적극 육성하기 위해 3억7000만 원을 지원하고 고급육 생산에 필수적인 ‘3통’(혈통, 사료, 사양관리의 통일)과 ‘3정’(정품, 정량, 정시 생산)을 확보하기로 했다.
시는 햇토우랑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470여 축산농가에서 한우를 출하하면 등급별로 마리당 10만∼30만 원의 사료비를 지원하고 혈통송아지를 생산할 경우에도 마리당 10만 원의 사료비를 지원한다. 또 초음파 생체육질 진단 장비를 확보해 적기출하를 지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가축시장의 출하와 도축 물량을 매일 조사해 한우농가의 홍수출하 자제를 유도하고 식육점에 대한 원산지 표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송아지(4∼5개월) 가격이 155만 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차액보전금을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송아지 안정제 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사료값 상승에 따른 축산농가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청보리 종자와 생볏짚 사료가공 시설비를 지원하고 사육환경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울산에서는 현재 2870농가에서 3만382마리의 한우를 사육하고 있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