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조선 중앙일보 등 3대 메이저 신문에 광고를 게재하는 기업을 협박하는 일부 세력의 움직임에 대해 역풍(逆風)도 만만찮다.
특히 이번 ‘광고주 협박 사태’를 ‘언론 소비자 운동’이라고 주장하거나 미국산 쇠고기 문제를 과장, 왜곡한 일부 매체에 대해 우파 및 중도 성향 단체를 중심으로 강력한 반발이 일고 있다.
네이버 카페인 ‘구국! 과격불법 촛불시위반대 시민연대’는 이번 광고주 협박 사태를 이끄는 ‘본거지’ 중 하나인 다음의 ‘조중동 폐간운동 국민캠페인’ 카페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지난달 31일 ‘국민캠페인’ 카페가 개설된 지 사흘 만인 이달 2일 만들어진 이 ‘시민연대’ 카페는 회원 수가 2만3800여 명(20일 기준)으로 ‘국민캠페인’(2만4200여 명)과 규모도 비슷하다.
‘국민캠페인’ 카페가 기업들의 전화번호를 계속 올리며 “‘동아 조선 중앙일보에 광고하지 말고 경향신문 한겨레에 광고하라’고 전화 걸라”며 선동하자 ‘시민연대’ 카페에는 “우리도 기업에 전화 걸어 진짜 국민의 목소리는 그렇지 않다고 알려주자”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시민연대’ 카페 회원들은 20일 미국산 쇠고기의 위험성에 대한 과장, 왜곡 보도로 불안감을 증폭시킨 데 결정적 영향을 미친 MBC에 대한 규탄 대회에 카페 깃발을 들고 참가하는가 하면 ‘광우병국민대책회의 대표단을 구속하라’는 내용의 서명도 받기 시작했다.
중도우파 성향 인터넷 매체 30곳이 가입한 인터넷미디어협회(인미협)는 ‘광고주 협박’을 언론 소비자 운동이라고 격려한 일부 매체의 관련 기사 게재 및 광고 수주 현황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변희재 인미협 정책위원장은 20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만약 좌파 매체들이 광고주 탄압을 부추기는 일을 중단하지 않는다면 중도보수 시민사회 전체와 연대해 딱 한 신문만 겨냥해 광고주 불매운동을 벌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변 위원장은 “좌파들처럼 무차별적으로 협박하는 방식이 아니라 좌파 언론의 브레인(두뇌) 역할을 하는 일부 매체에 광고하는 기업에 ‘전체 광고시장과 매체시장 활성화를 위해 당분간만 협조해 달라’는 정중한 방법을 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인미협은 19일 ‘선의의 광고주 탄압을 중단하라’는 성명서에서 “지금 탄압받고 있는 광고주 상당수가 좌파 매체들의 광고주이기도 하다”며 “최소한의 광고주 보호도 하지 않으려면 앞으로 광고 없이 매체를 운영할 것을 선언하라”고 촉구했다.
부형권 기자 bookum90@donga.com
김지현 기자 jhk8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