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e TOWN]키워드로 보는 세상/NIE

  • 입력 2008년 7월 7일 02시 59분


NIE(Newspaper In Education)는 신문 활용 교육을 의미한다. ‘신문을 가르치고, 신문으로 가르치자’는 교육적 시도로 신문을 학습에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활동이다. NIE는 살아있는 교과서인 신문을 통해 열린 교육, 새로운 시대에 맞는 정보화교육을 목표로 한다. 신문이 살아있는 교과서라고 불리는 이유는 수백 명의 기자가 시시각각 변화하고, 움직이는 매 순간의 인류 역사를 글로 기록한 것이기 때문이다.

신문은 이미 오래전부터 균형 잡힌 비판의식을 키우고 사고의 자율성을 향상시키는 매체교육의 일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NIE는 미국에서 1930년 후반 뉴욕타임스가 학교에서 신문 활용을 촉진할 목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공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NIE라는 용어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94년이다. 현재 몇몇 신문사에서 연수를 실시하고 있고, NIE를 커리큘럼으로 하는 교육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신문협회에서도 매년 NIE 관련 세미나와 대회를 열어 보급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NIE는 신문의 사설, 기사, 칼럼뿐만 아니라 독자의견, 광고, 사진, 만화 등 지면에 나온 모든 자료를 활용한다. NIE는 학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현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소재를 전달한다. 또 교과서 외의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식의 습득이 용이하다는 특성이 있다. 신문마다 똑같은 사건에 대해 다른 제목을 붙이고, 다른 시각을 보이는 것에 대한 비교 및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도 길러줄 수 있다. 그래서 마르지 않는 창의력을 가진 청소년들에게는 무궁무진한 사고의 증대를 선사하는 교육 수단이 되고 있다.

서브 키워드:미국의 NIE 역사

NIE 운동의 발상지는 미국이다. 1930년대 본격적인 신문 활용 교육이 시작되었고 1958년에는 미국신문발행인협회(ANPA·America Newspaper Publishers Association)가 전국적으로 NIC(Newspaper In Classroom)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책임을 안게 되었다. 이후 NIC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신문이 급증하게 되었다.

1976년에는 NIC 프로그램이 NIE 프로그램으로 변화하게 된다. 애초의 신문 활용 교육이 학교 교실에서 뿐만 아니라 병원이나 기업체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NIE 시작 당시의 문맹자가 10%를 넘었던 미국에서는 대중화된 신문이 교육상 큰 역할을 차지했다.

관련 키워드

신문 활용 교육, 세계신문협회(WAN), NIE 위원회, NIC, 어휘력 향상, 덴마크의 NIE 버스.

관련 피드백

1. 우리나라에서 NIE 교육의 중요성을 생각해보고 활성화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자.

2. 신문이 ‘살아있는 교과서(living textbook)’라고 불리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