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경남 도립대-발전연구원장 낙하산 논란

  • 입력 2008년 7월 17일 07시 05분


“대학과 연구기관의 대표도 최고경영자(CEO) 개념이다.”

“싱크탱크와 학문의 전당은 학자 출신이 맡아야 한다.”

경남도립 거창, 남해대학장과 경남발전연구원장은 박사학위가 있어야 할까, 아니면 없어도 될까.

당연히 박사학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강제 규정이 없다. 현재 경남도립 2개 전문대학장, 발전연구원장 모두 박사가 아니다.

최근 경남정무부지사에서 자리를 옮긴 이창희 경남발전연구원장은 석사다. H대 행정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92년 초대 원장부터 이 원장과 자리를 맞바꾼 안상근 전 원장까지 5명은 모두 박사였다. 국회의원 보좌관, 도지사 특보를 지낸 안 전 원장과 국회 전문위원을 지낸 이 원장을 빼고는 교수 출신이었다.

발전연구원 측은 “원장은 연구와 행정능력을 겸비한 사람 중 이사회의 심의를 거쳐 도지사가 임명하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도립 거창, 남해대학장에는 최근 경남도 기획관리실장 출신 3명이 잇달아 옮아가면서 논란이 있었다.

이들 가운데 이달 초 임기 만료로 물러난 김웅렬 전 남해대학장은 박사학위가 있었으나 후임 백중기 학장은 박사학위가 없다. 오원석 거창대학장도 마찬가지. ‘비(非)박사’여도 임용이 가능한 규정 때문이다.

한편 경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4일 성명에서 “학문의 전당인 도립 전문대학장 자리가 퇴임하는 도청 간부들의 보금자리로 전락한 지 오래됐다”며 김태호 지사에게 투명한 인사시스템 구축을 촉구했다. 전임 김혁규 지사 시절에는 이런 인사를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관료 출신이 교육, 연구기관을 책임지는 것에 부정적인 시각도 있지만 대부분 오랜 경륜을 바탕으로 운영을 잘해 강점이 많다”고 말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