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비율 12.5% 강남구 공정택 61% - 주경복 22%
지난달 30일 치러진 서울시교육감 선거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소속 교사가 적은 자치구는 수월성 교육과 경쟁을 강조하는 공정택 후보에게 높은 지지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교조 소속 교사가 많은 자치구는 평준화 교육을 강조하는 주경복 후보에 대한 지지가 높았다.
동아일보가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08년 서울지역 교사들의 교원단체 가입현황’ 자료를 서울시교육감 선거 자치구별 후보자 득표율과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교원단체 가입 현황에 따르면 서울시내 368개 중학교와 225개 인문계고 교사 3만9062명 중 전교조 소속 교사는 7171명으로 전체 교사의 18.3%를 차지했다.
자치구별로는 서울 금천구가 27.1%로 가장 높았고 △구로구 26.7% △영등포구 25.4% △관악구 23.8% △도봉구 23.5% △양천구 23.4% △종로구 23.2% △강서구 22.0% △동작구 21.6% △중랑구 19.8% 등의 순이었다.
전교조의 지지를 받은 주 후보는 이들 10개 자치구 중 종로구와 영등포구를 제외한 8개 자치구에서 공 후보를 앞섰다.
특히 전교조 교사 비율이 높은 관악구와 금천구에서는 17%포인트와 12.1%포인트의 큰 차로 공 후보를 따돌렸다.
이에 대해 이명희(공주대 역사학과 교수)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 대표는 “전교조 소속 교사 비율이 높은 지역은 공식 선거운동이 아니더라도 전교조 교사들이 생활 속에서 학부모 등 유권자들과 자연스럽게 접촉할 기회가 많다”며 “전교조가 평소 정교하게 선거에 접근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공 후보가 전교조 교사 비율이 높은 종로구와 영등포구에서 주 후보를 앞선 것은 보수적이고 친기업적인 지역적 성향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한 전교조 관계자는 “종로에는 전통이 강한 다소 보수적인 학교가 많고, 영등포는 금융권이 밀집해 있는 여의도의 분위기 때문에 전교조 소속 교사가 많아도 주 후보가 앞서지 못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반면에 공 후보가 주 후보를 앞선 8개 자치구 지역은 대체로 전교조 비율이 낮았다.
공 후보가 주 후보를 38.5%포인트의 큰 차로 따돌린 강남구는 전교조 소속 교사 비율이 12.5%로 서울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또 종로구(23.2%)를 제외한 용산구(13.0%) 송파구(14.6%) 중구(15.0%) 강동구(16.2%) 서초구(16.5%) 등도 전교조 소속 교사 비율이 다른 자치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신광영(사회학) 중앙대 교수는 “투표율이 너무 낮고 구체적인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세밀한 분석은 힘들지만 8개 자치구가 비교적 경제 수준이 높고, 교육에 대해 관심과 투자가 큰 공통적 특징이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권대봉(교육학) 고려대 교수는 “8개 자치구에서는 전교조 활동에 대한 반감이 표심을 통해 드러난 것”이라며 “투표율이 너무 낮기 때문에 이런 반감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서울의 일반계고 가운데 전교조 교사가 단 한 명도 없는 학교는 총 32개교로 나타났다. 이 고교들은 주로 강남구 노원구 양천구 송파구 은평구에 분포하고 있다.
이 가운데 강남구와 송파구는 공 후보에게 높은 지지를 보였고, 양천구는 후보 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노원구와 은평구는 주 후보에게 비교적 높은 지지를 보였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강남구와 송파구는 전체적으로 전교조 교사 비율이 낮아 전교조 교사가 없는 학교가 많기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 공 후보를 많이 지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양천구 노원구 등은 자치구 내에서 학원이 밀집한 곳인지 아닌지에 따라 학교의 전교조 교사 비율과 지지 후보 성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한편 선거가 끝난 뒤 낮은 투표율과 100억∼300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선거비용, 특정 교원단체의 노골적 선거 개입 등 교육감 선거제도에 대한 논란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한나라당 나경원 제6정조위원장은 “이번 정기국회에서 ‘시도 단체장과 교육감 러닝메이트 출마제’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러닝메이트 출마제가 도입될 경우 헌법에 명시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훼손된다는 우려도 나온다.
|
김기용 기자 k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