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캠퍼스의 낭만을 포기해야 했던 50대 주부. 대학을 이미 졸업했지만 급변하는 시대 때문에 배울 게 너무 많이 늘어난 40대 가장. 은퇴 후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는 60대 남성. 모두 학점은행제를 통하면 자신의 꿈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다.
○ 학위 받을 수 있는 학점은행제
올해로 도입 10년을 맞이한 학점은행제는 ‘학점 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학교 안팎에서 여러 형태로 수업에 참여하거나 자격을 취득하면 학점으로 인정받고,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제도다.
이 제도를 통해 취득한 학사 또는 전문학사 학위는 정규 대학에서 수여하는 학위와 법적으로 동등한 효력을 갖는다.
고교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학점은행제는 까다로운 입학 절차를 거쳐 대학에 입학하지 않아도 학위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정규 대학뿐 아니라 교육과학기술부가 인정한 교육 훈련 기관의 학점, 시간제 등록 학점, 자격증 취득 학점, 무형문화재 기·예능 보유자 및 문하생으로부터의 기술 전수를 통한 학점, 독학학위 취득시험 합격에 따른 학점 등이 모두 인정된다.
학점 인정을 위해서는 우선 학점은행센터에 학습자 등록을 하고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140학점 이상 취득하면 4년제 졸업에 해당하는 학사 학위, 120학점 이상은 3년제 전문학사 학위, 80학점 이상은 2년제 전문학사 학위를 신청할 수 있다.
취득 학점은 학점은행제 운영 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영구 보존돼 취업 및 편입학 때 증빙서류로 활용할 수 있다.
단 해당 학교에 따라 학점 인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교에 미리 문의해야 한다.
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센터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전문학사 학위 취득자는 3만6305명, 학사 학위 취득자는 7만1850명 등 모두 10만8155명이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까지 학점은행제를 통해 평생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사람은 30만여 명으로 추산된다.
학점은행제 이용방법과 절차는 학점은행 콜센터(1600-0400)와 홈페이지(www.cb.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학점은행제 진행과정
학점은행제를 이용하려면 먼저 자기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해야 한다. 학사와 전문학사 가운데 자신에게 필요한 학위 과정 선택도 이때 이루어진다.
학위과정 선택이 끝나면 자기에게 맞는 전공을 ‘표준교육과정’에서 고른다.
학위과정, 전공에 따라 필요한 요건, 교육과정, 학습방법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점은행제는 학점 취득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본인의 여건과 이미 취득한 학점의 유무, 선호하는 학습 방식, 희망 전공 등을 고려해 학습 방법을 설계해야 한다.
연간 또는 학기당 취득 가능 학점과 1개 교육기관에서 취득할 수 있는 최대 학점, 인정 가능한 자격증 수 등 학점 인정 기준도 미리 숙지할 필요가 있다.
학점은행제 상담실 또는 교육기관 담당자와 상의를 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학점 인정 시기는 1, 4, 7, 10월로 정해진 기간에만 가능하므로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학위 요건 충족이 확인되면 1년에 두 차례 학위를 받을 수 있다.
전기 12월 15일∼1월 15일, 후기 6월 15일∼7월 15일 두 차례에 걸쳐 신청할 수 있고 2월과 8월에 각각 학위를 받게 된다.
○ 이미 취득한 학점도 인정
전문대를 졸업하고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 학위를 받으려 하는 경우에는 전문대에서 획득한 학점을 포함해 140학점만 취득하면 된다.
학점은행 표준교육과정을 참고해 전문대 학점을 등록하고 나머지 학점만 이수하면 된다. 전공은 60학점 이상, 교양은 30학점 이상이 필요하다.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해당 전공과목 35학점만 이수하면 학위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졸업 대학의 학점은 사용할 수 없으며 학점을 모두 새로 취득해야 한다.
단 사회복지학으로 학위를 받을 경우 사회복지사 2급과 관련된 전공과목 42학점을 취득하면 학위와 함께 자격증도 받을 수 있다.
자격증은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고시된 자격(국가자격, 국가기술자격, 국가공인 민간 자격 중 일부)에 한해 학점으로 인정된다.
학사과정은 최대 3개, 전문학사 과정은 최대 2개까지 인정받을 수 있다. 전공과 무관한 자격은 1개만 인정한다.
자격 학점 인정 기준은 해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기준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
황규인 기자 kin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