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통영 욕지도 해역 모래채취,어업인-국토해양부 마찰

  • 입력 2008년 8월 12일 05시 44분


“생태계 파괴… 황금어장 망쳐”

“신항만 건설위해 채취 불가피”

“모래 채취로 황금어장이 망가진다.”

“신항만 건설을 중단할 순 없다.”

남해안 바닷모래 채취를 둘러싼 논쟁이 재연됐다. 최근 국토해양부가 경남 통영시 욕지도 남쪽 50km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5.48km²를 골재 채취 지역으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어업인들은 강력한 반대 투쟁을 천명했고, 국토해양부는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백지화 투쟁 나설 것”=‘욕지 모래채취반대투쟁위원회’ 조용제(57) 위원장과 지역 어업인 등 10여 명은 7일 국토해양부를 항의 방문한 자리에서 “지난 7년간 10차례의 개별 허가를 통해 엄청난 양의 모래를 채취한 해역에 다시 광범위한 채취 단지를 지정하는 것은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 번 훼손된 바다는 복원이 어렵다는 것.

조 위원장은 11일 “계속된 바닷모래 채취로 바다 환경이 망가졌을 뿐 아니라 고기들도 다른 해역으로 이동하는 등 심각한 상태”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백지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모래 채취 해역에서 어선을 동원한 해상 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통발수협 등 통영 지역 7개 수협도 해양생태계 파괴 등을 우려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 지역 출신 이군현 의원은 최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을 만나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은 골재 채취 단지 승인에 대해 항의했다.

경남도는 “국토해양부가 어업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골재 채취 단지를 지정해 행정 불신을 불렀고 어업인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된다”며 “민원을 수렴해 관계 부처와의 협의를 적극 중재하겠다”고 밝혔다.

▽“국책사업 계속돼야”=국토해양부는 “(부산)신항만의 건설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모래 공급이 중요하며 골재 채취 단지의 지정은 불가피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만약 피해가 생긴다면 조사를 거쳐 적절한 대책을 세울 것”이라며 “채취 단지의 친환경적인 해양 관리는 물론 향후 골재 채취원의 다변화와 대체재 개발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골재 채취 단지 지정으로 이 해역에서는 9월부터 2010년까지 18개월 동안 2640만 m³의 바닷모래가 채취될 예정이다. 단지 관리자인 수자원공사는 곧 채취업자를 선정한다.

정부는 2006년부터 문제의 해역에 대한 채취 단지 지정을 추진했으나 어업인은 물론 국방부의 반대로 지연됐다. 결국 국토해양부는 단지 면적과 채취량을 줄여 국방부의 동의를 받았고, 2년을 끌어온 단지 지정이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