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유럽의 주요 공업 지역을 나타낸 것입니다. 핵심 공업 지역이 A에서 B로 이동하는 이유를 설명한 내용으로 잘못 말한 학생을 <보기>에서 찾아 적으시오.
연서: 석유 자원의 사용이 높아졌다.
태현: 저렴한 노동력이 필요해졌다.
선영: 운송비 절감이 중요해졌다.
우기: 집적 불이익이 발생하였다.」
[풀이 및 정답] 유럽의 핵심 공업 지역이 변동하는 원인은 자원 고갈과 기술 발달에 따른 원료의 비중이 달라진 데 있다. 산업혁명 이래로 내륙의 석탄 및 철광석 산지를 중심으로 공업이 발달했지만 점차 석유 중심으로 산업이 변모했고 생산비 증가와 가중된 공업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하면서 원료인 석유와 철광석을 수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제품을 수출하기 유리한 항구 중심으로 공업이 성장하고, 최근에는 대도시 주변에서 우수한 인재와 쾌적한 환경을 바탕으로 첨단 산업이 육성되고 있다. 선진국인 유럽은 서비스 산업이 발달하여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지만 임금이 비싸고 낮은 출생률로 인한 노동력 부족으로 북부 아프리카와 동부 유럽에서 노동자들을 끌어오고 있다.(정답) 태현
〈언어편〉
다음 글을 읽고 괄호 A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지 고르시오.
「혜원(慧遠·333∼416)은 중국 동진(東晉) 때의 승려로, ‘누구나 정성으로 염불하면 극락정토에 들 수 있다.’고 설법한 정토종의 시조이다. 그는 불법에 정진하기 위하여 37년 동안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를 떠나지 않았는데, 손님이 돌아갈 때에도 동림사 앞개울까지 나갈 뿐이었다.
평택 현령 도연명(陶淵明·365∼427)이 어느 날 혜원을 방문하여 대화를 나누다가 관리로서 오랫동안 자리를 비워둘 수 없어 떠나게 되었다. 아쉬운 정을 나누며 개울가 언덕에 이르렀는데 혜원은 걸음을 멈추었다. 그러자 도연명이 말했다.
“조금만 더 같이 걸으시지요. 저는 관리이기 때문에 행동이 자유스럽지 못하지만 대사께서는 속세를 떠나셨으니 구름처럼 오고 갈 수 있지 않습니까?”
혜원은 곧 대답하기를, “안 되겠네. 마음이 시키는 대로, 욕망이 솟는 대로 할 수는 없네. 자네와 좀 더 함께 있고 싶지만 앞에 개울이 있으니 여기서 헤어져야겠네.”
도연명이 섭섭하여 물었다.
“저 개울을 잠깐 건너는 것도 안 됩니까?”
“안 되네. 나는 삼십여 년 동안 이 개울을 넘어본 적이 없네.”
“그것이 계율입니까?”
“그래, 그것이 내 개인의 계율이지.”
“그런 계율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의미가 있고 없고가 문제가 아닐세. ( A )라는 유비의 말도 있지 않은가? 내가 만약 작은 계율조차 지킬 수 없다면 어찌 큰 진리를 깨달을 수 있겠는가?”
이에 도연명은 고개를 끄덕이며 돌아갔다.[‘새롭게 풀이한 명심보감’ 중에서]」
① 하늘의 이치를 순종하는 자는 살아남고, 하늘의 이치를 거역하는 자는 망한다.(順天者는 存하고 逆天者는 亡이니라)
② 선한 일이 작다고 해서 하지 않아서는 안 될 것이며, 악한 일이 작다고 해서 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勿以善小而不爲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
③ 선을 행하는 사람은 하늘이 복으로 갚고, 선을 행하지 않는 사람은 하늘이 화로서 갚느니라.(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
④ 선한 일을 행하기를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이 하고 선하지 않은 일을 행하기를 끓는 물을 더듬는 것과 같이 하라.(見善如不及하고 見不善如探湯하라)
⑤ 하루 선을 행하면 복은 비록 이르지 아니하나 재앙은 저절로 멀어지고, 하루 악을 행하면 재앙은 비록 이르지 아니하나 복은 저절로 멀어진다.(一日行善이면 福雖未至나 禍自遠矣요 一日行惡이면 禍雖未至나 福自遠矣니라)
[풀이 및 정답] 일화를 읽고 난 뒤에 글의 맥락을 이해하여 대화에 인용되는 내용이 어느 것인지를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다. 대화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쉽게 풀 수 있다.
혜원은 불법에 정진하기 위해 스스로 계율을 정해 놓고 이를 지켜 왔다. 그것은 개울을 건너가지 않기로 한 사소하고 작은 것이다. 도연명이 개울을 건너가는 것처럼 작고 사소한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묻고 있지만 혜원은 그것이 비록 작고 사소한 것이라도 계율을 어기는 것은 악행(나쁜 행위)이기 때문에 이를 지키고자 하고 있다. 따라서 ②번이다.
①은 하늘의 이치, 곧 자연의 질서를 어기면서 살아남는 존재는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는 뜻으로 이 일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③은 천지자연의 질서는 엄격하여서 철저하게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적용을 받는다는 뜻으로 역시 이 일화의 내용과 관련되지는 않는다.
④는 선한 일을 보면 달리기를 할 때 앞에 달려가는 사람을 따라잡으려 하듯이 하고, 악한 일을 만나면 끓는 물을 조심하여 피하듯이 황급히 피하라는 의미로 선과 악에 대한 태도를 말하고 있다. 그러나 작고 사고한 계율을 지키는 문제와는 다르기 때문에 답이 될 수 없다.
⑤는 선과 악의 갈림길에서 선을 지향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서 다소 관련이 있으나 대화의 마지막 부분에 들어 있는 ‘내가 만약 작은 계율조차 지킬 수 없다면 어찌 큰 진리를 깨달을 수 있겠는가?’라는 내용을 참고로 해 볼 때 역시 답이 될 수 없다.(정답) ②
〈영어독해 편〉
다음은 공부를 보다 더 잘 하기 위한 6단계의 두뇌 훈련 과정의 일부이다. 설명에 맞는 요지를 보기에서 골라 짝 지으시오.
「(A) Preview the matter first.
(B) Slow down and read it aloud to yourself.
(C) Use memory-enhancing techniques.
(D) Organize facts into categories.
(E) Be focused.
(F) Follow your own learning style.」
「(1) If we are sure about what we'll gain from learning something, we learn it faster. We will resist it less.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focus, fix a particular time and place for studying. Use a variety of methods, like writing down what you've read or taping it and then listening to it, or making a synopsis or even visualizing it as a diagram. Take a break if you become too tense or tired. It will improve your learning capacity.
(2) That is, don't plunge headlong into reading new, unfamiliar material. You can understand more and retain more if you first scan it or skim over it quickly. Read the first sentence of each paragraph, glance at the table of contents and the preface.
(3) For instance, if you have to memorize a jumbled list containing names of animals, types of transport, items of clothing and kinds of occupations, it is easier if you split them into groups or categories. Dividing it into smaller, meaningful portions makes it easier to learn.
(4) Speed reading is fine for easy material but for more complex works, slower reading is much more effective. Good learners vocalize, either loudly or in their minds, listening to each word as they read. They also actively think about what they read and assimilate it.」
[풀이 및 정답] 각 단락의 요지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공부의 목적을 분명히 인식하는 것 등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2) 어렵거나 새로운 책을 읽으려고 서둘러 덤벼들지 말고 먼저 대충 훑어보거라. (3) 그룹 또는 범주로 나눈다면 기억하기가 더 쉽다. (4) 복잡한 작업일 경우에는 천천히 읽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정답)(1)-(E),(2)-(A),(3)-(D),(4)-(B)
※ 이지논술에서는 새로운 외국어고 입시 유형에 맞는 구술면접 문제를 게재합니다. 해설 강의는 서울시내 외국어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등 명문대에 진학한 대학생들이 맡습니다.
▶www.easynonsul.com에 동영상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