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 저조 효율성 논란
서울시 자치구들이 지역 내 공연장, 공영주차장, 체육시설 등을 위탁 관리하는 시설관리공단의 최고경영자로 공무원 출신을 주로 영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보가 시설관리공단이 없는 서초구를 뺀 24개 자치구의 초대부터 현재까지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58명의 경력을 분석한 결과 공무원 39명(67%) 민간기업 8명(14%) 지역 인사 8명(14%) 구의원 3명(5%) 등이었다.
▽공무원이 67%=광진 금천 서대문 성동구 등 대부분 구청에선 퇴임 부구청장이나 구청 국장(서기관) 출신이 이사장 자리를 맡고 있다. 대부분 구청은 지방공기업법 제60조의 임원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고 사무관으로 3년 이상 재직했거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투자기관에서 임원 또는 간부로 근무한 사람을 채용했다. 민간기업 출신은 상장기업 부장급 이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부 이사장은 임용 과정에서 논란을 가져왔다. 서울 관악구는 지난해 시설관리공단을 출범하면서 이사장을 공개 모집한 결과 한나라당 관악갑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을 지낸 최모 씨가 임용됐다.
지난해 12월 강서구청장이 보궐선거로 바뀌자 강서구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이 임기를 채우지 않고 돌연 사임했다. 후임 이사장은 자동차정비공장 대표를 지낸 강모 씨가 맡았다.
관악구 이동영 의원은 “2006년 지방선거 이후 구청장 측근 인사들이 자리를 채우기 시작했다”며 “이사장 인사청문회 등 임용 검증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채 늘고 자본 줄고=시설관리공단은 직원 200∼300명이 수백억 원의 매출액을 올리는 구청의 투자 기업이다. 공무원 출신 이사장이 10명 중 7명이지만 경영실적은 신통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5∼2007년 매년 경영정보를 공개한 20개 공단 전체의 부채는 309억 원에서 지난해 367억 원으로 늘었다. 자본금은 같은 기간 187억 원에서 137억 원으로 감소했다.
강남 광진 구로 금천 동대문 동작 마포 성동 송파 용산 종로 중랑구 등 12개 공단은 자본은 그대로이거나 줄었는데, 부채는 늘었다.
강남구는 2005년 자본이 15억 원에서 지난해 12억 원으로 줄었으나 같은 기간 부채는 20억 원에서 23억 원으로 늘었다.
구청이 아웃소싱 형태로 시설관리공단을 운영하는 것 자체가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서초구 관계자는 “공단을 운영하면 이사장, 이사 등 인원만 늘리게 돼 결과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며 “차라리 시설관리공단 없이 구청 직영체제로 운영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일부 기업 출신 영입도=동작구는 구청 재정경제국장을 지낸 현 이사장을 빼면 모두 기업 출신이다. 초대 이사장은 해태상사 경영기획실장을 지냈고 2대 이사장은 코오롱상사 중국본부장 출신이다. 마포구도 지난해 8월 제일제당 서울영업본부장 출신을 공단 이사장으로 기용했다.
마포구 관계자는 “구청 소속 공기업에도 민간기업 인사를 채용해 효율성을 추구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종 기자 pe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