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은 사업의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며 연일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나 한전의 강행 의지는 변함이 없다.
▽“타협은 안 한다”=경남 밀양시 상동면과 산외면 등지의 주민들로 구성된 ‘765kV 북경남 송전사업 백지화 투쟁 밀양시대책위원회’(위원장 이수암)는 최근 삼문동 남천강변 야외공연장에서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정 밀양지키기 시민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지난달 25일에 이어 두 번째 집회.
투쟁위는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밀양시의 흥망을 좌우할 최대 현안”이라며 “선로가 지나가는 양산시, 창녕군 주민과 공조해 한전의 부당하고 일방적인 사업 추진을 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일부 송전탑은 주택과 100m도 떨어지지 않아 전자파로 인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송전탑이 민가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여러 차례 요구했으나 한전은 이를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밀양시의회도 송전선로 전면 폐지를 요구하는 대정부 건의문을 냈다.
인근 창녕군 주민들도 28일 반대집회를 여는 등 고압선로가 통과하는 지역의 반대가 드세다.
▽“추진해야 한다”=한전 송전부 관계자는 28일 “엄청난 예산을 들여 국가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을 중단하라는 것은 부당하다”며 “현재의 계획과 노선을 바꾸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전체 노선 가운데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마을과 150m 이상 떨어졌으며 전자파로 인한 피해도 구체적으로 입증된 사례가 없다”고 주장했다.
한전은 신고리원전 1, 2호기 건설에 5조 원이 들어가고 이곳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정상적으로 공급하지 못하면 하루 28억 원의 비용 손실이 생기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전의 한 간부는 “늦어도 올해 말까지 지역 협력사업 제시 등을 통해 대화를 마무리하고 내년 초에는 본공사에 들어가야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다”고 말했다.
주민들이 요구하는 선로 지중화(地中化)에 대해서는 “예산은 물론 76만5000V의 고압이어서 기술적으로도 땅 속에 묻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북경남(창녕) 송전선로 사업:
한전이 2010년 말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현 공정 65%)인 신고리원전 1, 2호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부산, 경남북 일원에 공급하기 위해 5200억 원을 들여 추진하고 있다. 기장과 양산, 밀양, 창녕을 거치며 변전소는 창녕군 성산면 박리마을에 둘 예정. 전체 구간 90.5km(철탑 162기) 가운데 밀양은 39km(철탑 67기), 창녕은 4.8km(철탑 9기)가 지나간다. 철탑 높이는 80∼14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