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옆 수로와 한강 하구를 통과하던 조운(漕運)항로의 뱃길이 멀고 험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천 서구 해안과 한강을 잇는 운하 공사를 시도했으나 토목기술이 부족해 ‘원통이 고개’(인천 남동구 간석동)를 뚫지 못하고 실패했다.
1987년 발생한 대홍수를 비롯해 굴포천이 범람해 인천과 경기 부천시 일대에 상습적으로 홍수가 발생하자 정부는 1992년 굴포천 14.2km 구간에 방수로를 건설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그러다가 정부가 1995년 이 방수로를 3.8km 연장해 한강과 서해를 연결하는 경인운하 사업으로 추진하게 된 것이다.
당시 정부가 세계적인 운하 컨설팅사인 네덜란드 DHV사에 의뢰해 2년간 검토한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비용 대비 국가적 이익의 비율이 1.76에 이르러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사업으로 판명됐다. 즉, 비용을 다 제하고도 76%의 이익이 발생한다는 뜻이다.
경인운하가 건설되면 육로를 통해 운송되는 화물을 운하로 흡수해 수송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 도심 화물차량의 통행을 줄여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저감하는 효과도 볼 수 있지만 환경단체는 경인운하가 건설되면 생태계가 파괴된다며 사업을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방수로를 경인운하로 전환하면 바닷물과 한강 물이 유입되면서 수질이 개선되고 바다와 하천의 중간구역이 조성돼 한강 하구와 같은 역동적인 생태계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항만과 대규모 물류단지를 겸비한 경인운하는 국가경쟁력 강화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경인운하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기업을 유치하면 대규모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고, 운하가 물류 문화 관광 명소로 개발될 경우 막대한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이다.
일부에서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대운하에 대한 국민적 우려와 걱정을 경인운하와 연계해 부정적인 여론을 부추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경인운하는 이미 10여 년 전부터 시설계획이 고시된 별개의 사업이며 성격도 다르기 때문에 대운하와 연계해 사업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과거 정부는 경인운하 건설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다각적인 연구용역을 시행하고도 의견 수렴 등을 핑계로 결정을 내리지 않아 국민의 불신을 쌓아 왔다. 그동안 정부를 믿고 국책사업에 협조하며 희생을 감내해 온 지역주민을 생각할 때 경인운하 사업을 더 지연한다면 무책임한 정부라는 질책을 받을 수 있다.
이제 정부의 결단만 남았다.
황규철 대한건설협회 인천시회장 hwang287@hanmail.net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