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시설 작업자의 옷 - 장갑 - 공구 등 저장
규정은 ‘지진 - 열 견딜수 있는 처분장에 격리’
연구원 “2010년까지 경주방폐장에 옮길 것”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서울의 일반 건물과 대전의 가건물 등에서 보관해온 중·저준위 폐기물은 원자력 관련시설 종사자들이 작업 중 입는 방호복, 장갑, 공구 및 이들을 세탁할 때 나오는 물 등이다.
이는 사용 후 핵연료인 고준위 폐기물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덜하지만 역시 방사능 오염 우려가 있는 물질이다.
이 때문에 국내 원자력 및 핵폐기물 처리 문제의 주무 기관인 원자력연구원이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핵폐기물을 지상 건물에 보관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뒤 안 맞는 보관 상태=방사성폐기물관리법상 핵폐기물은 ‘영구처분장에 안전하게 격리’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정부는 원자력법, 방사선안전규칙,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등을 통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주요 심사 기준 항목으로 △붕괴열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열에 견딜 것 △화학약품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경우에도 정상 상태 유지 △방사성폐기물에 의한 오염 확산 방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중·저준위 폐기물 보관을 위한 천층(淺層) 처분시설(지하에 천연 또는 인공방벽을 이용해 수거물을 처분하는 방식)은 △화재 또는 지진 등의 사고 시 방사성 물질 누출 방지 △지표수 범람, 시설 주변에 물이 고일 가능성까지 배제 등 엄격한 관리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원자력연구원은 이런 규정을 지키지 않고 드럼통 및 컨테이너에 폐기물을 담아 임시 저장소에 보관해 왔다.
▽“장기 보관은 곤란”=원자력연구원은 한나라당 김정훈 의원실에 보낸 ‘폐기물 안전관리 현황’을 통해 서울과 대전에 임시 보관 중인 방사성폐기물의 경우 수시로 △정기검사 △품질보증검사 △분기별 검사 △자체안전검사 등을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지적사항은 없다고 해명했다.
또 저장소 주변의 최근 3년간 방사선량이 12.9∼16.3uR/h로 자연상태의 방사선량(5∼30uR/h)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훈 의원은 “연구원 측이 ‘고리, 영광, 월성 등 원자력발전소 내 저장소 보관을 문의했지만 공간 부족을 이유로 거절당했다’고 밝혔다”면서 “경주 방폐장이 건설될 때까지 마땅한 장소가 없어 자체적으로 임시 보관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저준위 폐기물이 고준위 폐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방사능을 지녔다고 하더라도 8∼23년째 이런 상태로 핵폐기물을 보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황주호 교수는 “중·저준위 폐기물이라도 장기간 (오염 방지 시설이 미비한) 임시 저장소에 보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2010년까지 경주 방폐장으로 이송해 보관할 폐기물이라면 좀 더 면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원자력 관련 기관 간의 이기주의 때문에 정식 저장소나 방폐장에 보관해야 할 핵폐기물을 지상 가건물에 보관하고, 점검 결과 이상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면서 “핵폐기물에서 나오는 방사선은 미량이라도 누적될 경우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므로 더욱 엄밀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