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심초사 허사로 만든 ‘봉하대군’

  • 입력 2008년 12월 2일 02시 53분


잇단 인사 구설수 ‘친인척 관리대상 1호’

대우건설 사장 청탁사건 재판부 훈계에

“훈계는 판사 권한 밖 아니냐” 따지기도

노무현 정부 때 노 전 대통령의 둘째 형 노건평 씨는 이런저런 구설수에 자주 올랐다. 그런 탓에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실에서는 그를 ‘친인척 관리대상 1호’로 올려놓고 동향을 철통 감시했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옛 세종증권 매각 비리에 연루된 것을 막지 못한 셈이 됐다.

노 씨는 노무현 정부 시절 스스로 “장관 시켜 달라는 사람에게서 받은 이력서를 갖고 있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런 연유로 그에게는 ‘봉하대군’이라는 별칭이 따라다녔다.

노 씨는 노무현 정부의 첫 조각 인사검증이 진행되고 있던 2003년 2월 하순 한 주간지에 “곽진업 씨가 차기 국세청장이 되는 것이 순리에 맞다. 당선자와 동향이라는 것 때문에 배제된다면 오히려 역(逆)차별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동생에게도 이 같은 얘기를 전했다”고 해 ‘정부 고위직 인사를 좌지우지하려는 것이냐’라는 구설에 올랐다.

노 씨의 발언 탓에 곽 씨는 국세청장에 낙마했으며, 경제관료 출신인 이용섭 씨가 외부 인사로는 15년 만에 국세청장에 올랐다.

노 씨는 당시 “김정복 씨는 아주 훌륭한 사람이다. 내가 세무공무원을 해 봐서 사람을 잘 안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 씨는 현재 검찰 수사 대상인 태광실업 박연차 회장의 사돈이다.

2003년 9월 노 씨는 남상국 당시 대우건설 사장에게서 사장직 연임을 도와달라는 청탁과 함께 3000만 원을 받았다가 석 달 뒤 돌려줬다.

노 전 대통령이 2004년 3월 기자회견에서 “좋은 학교 나오고, 성공한 분이 시골에 있는 별 볼일 없는 사람에게 가 머리 조아리고 돈 주는 일은 없으면 좋겠다”고 공개 비판한 뒤 남 전 사장은 투신자살했다.

노 씨는 이 사건으로 불구속 기소돼 2004년 7월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에 추징금 600만 원을 선고받았다.

당시 재판부가 “대통령의 친인척으로서 자중 자애해야 한다”는 취지로 3분 동안 훈계했지만 노 씨는 이튿날 판사에게 전화를 걸어 “훈계는 판사의 권한 밖 아니냐”며 따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원수 기자 needjung@donga.com


▲ 영상제공 : 한겨레신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