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연구 없이 추진… 李대통령-후진타오에 곧 편지”
“따오기 복원이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국민들에게 이해시키는 것이 조류학자의 임무다.”
‘새 박사’로 알려진 윤무부(67·사진) 경희대 명예교수가 따오기 복원에 대해 지속적으로 이의를 제기하면서, 이 사업을 추진 중인 경남도, 창녕군과 갈등을 빚고 있다.
윤 교수는 “이명박 대통령은 물론 따오기를 기증한 중국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에게도 이 사업의 문제점을 담은 편지를 곧 보낼 것”이라고 밝혀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천적과 먹이가 걸림돌이며 1979년 한반도에서 따오기가 멸종되기 전에도 ‘겨울철에만, 한두 마리씩, 불규칙하게’ 찾아오는 철새였을 뿐 텃새가 아니었다는 설명이다.
그는 “경남도와 창녕군이 체계적인 연구와 검토를 하지 않은 채 비전문가의 제안에 따라 국가적인 사업으로 부풀렸다”며 “특히 조류 전문가가 많은 환경부에 자문하지 않고 중국과 따오기 복원 협약을 맺은 것은 무지의 소치”라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우포 따오기를 중국으로 돌려보내고, 중국 현지에서 수만 마리로 번식시킨 뒤 방사해 우리나라에 찾아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따오기 복원의 문제를 적시한 문건을 경남도와 낙동강유역환경청 등 50여 곳에 보냈다는 윤 교수는 “(어느 기관에서도) 공식 반박은 없었고 전화로 폭언을 하는 경우는 있었다”며 “끝까지 굽히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필요한 사업이다”=경남도 관계자는 “따오기 복원은 람사르총회 개최를 기념해 습지와 환경을 되살리는 상징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윤 교수의 주장을 참고하겠지만, 극단적인 반대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복원 책임자인 경북대 조류환경연구소장 박희천 교수는 “10월 17일 우포에 도착한 따오기는 아주 잘 적응하고 있으며 건강하다”고 전했다. 박 교수는 “시시비비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고, 내년 봄 성공적인 번식을 통해 노력의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따오기 복원은 생물다양성 제고와 미래 세대를 위해 누군가 해야 할 일”이라며 “당초 계획대로 차질 없이 복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따오기 기증은 5월 한중 정상회담 당시 양 정상의 합의에 따라 진행됐으며, 우포에 들여온 것은 중국 산시(陝西) 성 양(洋) 현 따오기 복원센터에서 기르던 양저우(洋洲)와 룽팅(龍亭) 부부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