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관리기구 제안… 거부땐 운반차량 막기로
경기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주민들은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이면 심한 악취에 시달린다. 바로 근처에 있는 난지물재생센터에서 나는 냄새다. 난지물재생센터는 1985년 서울시가 세운 하수처리시설이다.
게다가 이곳에는 서울시의 분뇨처리시설과 마포구 폐기물처리시설, 서대문구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까지 가동 중이다.
서울시는 2006년 냄새를 줄이는 시설을 설치했지만 악취 관련 민원은 끊이지 않고 있다.
주민들은 운영주체인 서울시나 해당 자치구가 문제 해결에 소극적이라며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난지물재생센터처럼 서울시와 자치구들이 운영 중인 경기지역의 각종 주민기피시설에 대해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17일 도에 따르면 서울시와 자치구들이 경기지역에 운영 중인 주민기피시설은 모두 44개. 화장장 등 추모시설이 12개, 하수처리장 등 환경관련시설이 4개, 요양원 등 수용 및 복지시설이 28개다.
도의회 주민기피시설대책특별위원회는 다음 달 초 서울시와 경기도가 이 시설들을 공동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는 공동관리기구 설치 등을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에 제안하기로 했다.
특히 서울시가 미온적인 반응을 보일 경우 폐기물 운반 차량의 이동을 막는 등 물리력을 동원하는 방법까지 검토 중이다.
정문식 특별위원장은 “피해 주민들은 ‘경기도가 서울시의 봉이냐’며 노골적인 불만을 터뜨린다”며 “무조건 반대가 아니라 자치단체들이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도 역시 산하 연구기관인 경기개발연구원을 통해 피해 규명을 위한 특별조사단 설치, 지방의회에 공동위원회 구성, 공동관리기구 설치 같은 방안을 최근 마련했다.
이용환 경기개발연구원 자치행정연구부장은 “이 시설들은 서울시민들에게 편익을 제공하는 반면 경기도민에게는 손해를 끼치는 경우가 많다”며 “경기도와 서울시가 함께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