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컴백? 교육차관 내정설… 청와대에선 부인

  • 입력 2008년 12월 18일 03시 00분


“교과부 개혁 적임” 평가속

교육단체등 “독선적” 반발

교육과학기술부 1급 공무원 전원이 사표를 내면서 이주호(사진) 전 대통령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이 입각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 1급 공무원 일괄 사퇴가 교과부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 작업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교과부 개혁을 주도할 수 있는 사람이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이 전 수석이라는 평가가 청와대 안팎에서 나오면서 사의를 표명한 우형식 교과부 1차관 후임으로 이 전 수석이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차관 내정설’까지 나온다. 하지만 청와대의 공식 입장은 “논의되거나 거론된 적이 없다”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이 전 수석의 차관 입각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 측근들이나 여당인 한나라당에서 이 전 수석을 교과부 차관으로 적극 추천한다. 지난해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 캠프의 교육공약 수립을 총괄한 데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문화복지교육분과 간사로 일하는 등 이 대통령의 ‘교육 전도사’ 역할을 해 교과부 개혁에 적임이라는 것이다.

한 여권 인사는 “이 전 수석은 이 대통령의 교육철학을 꿰뚫고 있어 차관으로 기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전 수석에 대한 교육계의 거부감이 많아 사표를 제출한 1급 간부들 가운데 일부만 내보내고 차관으로 발탁할 수도 있다는 추측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실제로 교과부와 교육단체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이 전 수석은 대통령직인수위 시절부터 올 6월 수석에서 물러날 때까지 교과부 조직 개편과 학교자율화 정책, 지역교육청 개편 등 각종 개혁정책을 주도했다.

그러나 현장의 의견을 제대로 듣지 않고 ‘개혁 드라이브’를 추진하다 반발에 부닥쳐 경질됐는데 주무 차관으로 기용하는 것은 문제라는 시각도 있다.

특히 대학업무를 과학담당 차관 밑에 두는 등 지금 교과부가 잘 돌아가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는 것도 그의 무리한 조직 개편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지역교육청 축소와 교장공모제 확대 등을 추진했던 이 전 수석의 퇴진을 강하게 요구했던 교육계도 반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교원단체 관계자는 “이 전 수석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간부 출신들의 조언으로 정책을 추진한다는 의구심이 많았다”고 말했다.

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