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악화를 예방하고 오염된 환경을 복구하는 환경산업의 부가가치 창출력이 제조업의 3배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8일 내놓은 ‘2007년 환경보호지출계정(EPEA) 편제 결과’에 따르면 2007년 환경보호지출액(명목)은 28조8820억 원으로 전년보다 8.9% 증가했다. 2004∼2007년 연평균으로 8.8%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같은 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연 5.0%를 크게 웃돌았다. 전체 GDP에서 환경보호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4년 2.87%에서 2007년 3.2%로 높아졌다.
환경산업은 부가가치율이 59.3%로 전체 산업 평균(38.2%)을 크게 앞섰고 제조업(21.9%)의 3배에 육박했다. 부가가치율은 부가가치를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또 환경산업의 취업유발효과는 10억 원당 6.9명으로 비제조업(12.9명)보다 작지만 제조업(3.4명)보다는 훨씬 컸다.
한은 관계자는 “환경산업은 자본집약적인 장치산업으로 부가가치율이 높고 고용창출 효과가 크기 때문에 한국 경제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연구개발을 육성해 친환경제품 개발을 촉진하고 청정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를 늘려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재윤 기자 jaeyun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