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A 씨의 경제사정이 나아지지 않으면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정해 월 100만 원 안팎의 생계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긴급 생계비는 한 달만 지원하기 때문.
울산시가 위기 가구 보호를 위해 본격 운영에 들어간 ‘민생안전지원단’이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민생안전지원단은 그동안 신청자를 중심으로 도와주던 방식에서 공무원들이 적극적으로 발굴해 지원하는 형태로 바꿨다. 복지여성국장을 단장으로 3개 반에 34명의 공무원을 배치했다. 또 최근 선발한 행정인턴 104명 가운데 57명도 지원단을 보조하고 있다.
지금까지 시에 접수된 위기 가구는 민생안전지원단이 발굴한 1764건과 본인 신청 1006건, 이웃이 의뢰한 73건 등 모두 2843건. 이 가운데 요건에 모자라는 156건을 제외한 2687건에 대해 생계비 등을 지원했다.
올해 민생안전지원에 쓰일 예산은 702억 원. 소득이 최저 생계비(4인 가족 월 133만 원) 이하인 절대 빈곤층과 무직 가구 등에 생계비는 108만1000원, 의료비는 3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시의 지원 기준에 미달되면 민간단체와 연계해 돕기도 한다.
울산 동구의 B(57) 씨는 개인사업을 하다 경영 악화로 폐업 절차를 밟고 있다. 부인은 뇌중풍(뇌졸중)으로 치료를 받고 있고 아들은 대학 졸업 후 취업을 못했다. 건강보험료 120만 원이 체납된 상태.
B 씨는 폐업 절차를 밟고 있어 긴급 생계비 지원대상이 아니어서 최근 공동모금회로부터 80만 원의 생계비를 받았다. 시는 B 씨의 아들이 6개월 동안 행정기관 업무 보조원으로 근무하도록 알선해 줬다.
시 관계자는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정리해고와 휴·폐업 등으로 위기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지원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