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이준구(경제학·사진) 교수가 신입생 대상 강연에서 대학들의 주입식 교육을 인재육성을 가로막는 ‘막장교육’이라며 비판했다.
이 교수는 10일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가 정시모집 합격생을 대상으로 개최한 특강에서 “학부 수준에서 교육을 받을 때는 외국 유수 대학의 학생들에게 뒤지지 않는 서울대생이지만 정작 서울대 출신의 세계적인 학자는 거의 없다”며 “이는 단순주입 암기식 교육 때문인데 우리는 아직도 이를 반성하지 않고 ‘막장교육’으로 달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신입생들에게 “서울대생의 70∼80%는 ‘족보’로 공부하고 있는 것 같다”며 “족보에 기초해 시험을 내는 선생님도 있겠지만 그렇게 공부하면 바보가 된다. 학점이 나빠도 좋으니 진취적으로 공부하라”고 조언했다. 족보는 예전에 출제된 적이 있는 시험문제나 모범답안 등을 모아놓은 자료를 말한다.
이 교수는 “(대학에서) 서로 교류하고 협조하는 방법과 참다운 우정이 무엇인지 깨닫고 인생을 풍부하게 사는 연습을 하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대학에서 영어 강의가 늘어나는 현실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그는 “(영어 강의가) 가르치는 사람과 듣는 사람에게 70%밖에 효율적이지 않아 손실이 많다”며 “영어에 시간을 많이 쓰는 정도만큼 사고력이 떨어지게 돼 있다”고 말했다.
우정열 기자 passion@donga.com
▶ 동아닷컴 주요기사
- 서해5도 해상 中어선 전부 사라져… 연평해전 상황과 비슷
▶ 동아닷컴 인기화보
[화보]호주 30년만에 최악의 산불…사망자 200명에 육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