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연탄재의 소각장 반입을 줄여 연간 9억여 원의 예산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역 쓰레기 소각시설인 달서구 성서소각장에서 지난해 2월부터 1년간 생활쓰레기와 섞여 수거되는 연탄재의 반입을 단속한 결과 소각처리한 뒤 남는 재발생률이 기존 45.9%에서 22.8%로 낮아졌다.
종전에는 100t의 쓰레기를 태우면 45.9t의 바닥재가 발생했으나 연탄재 반입량 감소 이후에는 100t의 재를 태우면 22.8t의 바닥재만 발생했다는 것. 이 기간에 연탄재로 인해 낭비되던 쓰레기 소각 처리 비용을 줄여 연간 9억여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또 연탄재를 태우는 과정에서 생기는 처리시설의 수명 단축 문제도 해결하는 부대효과도 거뒀다.
대구시는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연탄재가 가정이나 상가 등에서 나올 때는 분리 배출되지만 이를 수집해 운반하는 과정에서 생활쓰레기와 섞여 수거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청소차량의 연탄재 반입을 집중 단속했다고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불에 타지 않는 연탄재를 일반쓰레기와 같이 소각하면 상당한 비용이 든다”며 “일반쓰레기는 소각장에서 처리하고 연탄재는 매립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용균 기자 cavatin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