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반구대 암각화 보존 대책 공청회 결론 못내 또 표류

  • 입력 2009년 4월 2일 06시 44분


울산 반구대 암각화 보존 문제가 또다시 표류하게 됐다. 울산시와 문화재청 등이 선사시대 바위그림인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 보존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달 31일 서울 경복궁 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공청회가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끝났다.

본보 3월 31일자 A16면 참조 ▶ ‘울산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 오늘 공청회

이날 공청회에서 국토해양부 이원식 수자원개발과장은 “반구대 암각화의 침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근본적인 암각화 보존대책 수립 시까지 사연댐의 만수위를 평균 60m에서 52m로 낮추는 방안을 울산시와 문화재청이 동의할 경우 즉시 시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국토해양부와 마찬가지로 사연댐 수위 조절을 통한 암각화 보전 방안을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울산시 김기수 문화체육국장은 “문화재청의 수위 조절안은 원수 공급량(하루 3만 m³) 감소와 댐의 수질 저하, 그리고 수위를 낮추더라도 연평균 55일간 암각화가 침수되는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에 근본적인 보존 대책이 안 된다”고 국토해양부 제의를 거부했다. 김 국장은 이어 “반구대 암각화를 중심으로 상류 500m, 하류 200m 지점에 자연친화적인 생태제방(길이 170m, 높이 22m, 사업비 600억 원 추정)을 설치하고 지하에 터널을 뚫어 물길을 우회시키는 ‘터널형 유로변경안’을 채택해줄 것”을 제안했다.

이날 공청회에서 경주대 도진영 교수는 “반구대 암각화의 원형훼손 정도가 매우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며 “박리와 균열부위에 대해 완전한 보존대책이 수립되기 전에 우선 접착 처리할 것”을 제시했다.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반구대 암각화가 연간 8개월간 침수와 노출이 반복돼 훼손이 가속화하는 데 대해 문화재 보존과 관리 주무 책임자로서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