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산업지도를 바꿀 수 있는 ‘산업뉴타운’ 30곳이 새롭게 조성된다.
서울시는 6일 지역 경제의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12년까지 25개 자치구별로 1곳 이상씩 총 30곳의 산업뉴타운을 지정해 육성하는 ‘산업뉴타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산업뉴타운은 주거 불균형 해소가 목적이었던 기존 뉴타운 사업을 산업육성전략에 도입한 것”이라며 “시 곳곳에 산업뉴타운을 배치해 핵심 산업거점으로 육성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번 프로젝트가 완료되는 2017년경 7조3000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7만20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7만2000개 일자리 창출 기대”
시는 우선 올해 성동구 마포구 종로구 영등포구 서초구 중구 등 6개 자치구의 거점 지역을 1차 산업뉴타운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내년에는 중랑구 성북구 도봉구 등 8개 지역을 추가하는 등 2012년까지 30개의 산업뉴타운을 지정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해당 지역에 이미 조성된 산업을 최대한 고려해 특성화하는 방법으로 추진된다.
예를 들어 1차로 지정된 6개의 산업뉴타운 중 귀금속 상점들이 밀집한 종로구 종로3가 일대 12만5180m²에는 ‘주얼리 비즈니스 파크’ 등 귀금속 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준공업지역인 성동구 성수동 일대 79만8611m²에는 ‘정보기술(IT)·생명공학기술(BT) 융합센터’가 들어선다. 또 디자인 업체가 많은 마포구 서교동 일대 77만8285m²에는 디자인 및 출판업을 위한 ‘디자인 허브’가 신설된다. 서초구 우면동 일대 5만3553m²에는 자동차·전자 분야 특성화를 위한 ‘연구개발(R&D) 센터’가 마련될 예정이다. 이 밖에 중구에는 금융·문화 복합센터가, 영등포구에는 글로벌 문화·엔터테인먼트 복합단지가 자리 잡게 된다.
○ 용적률 완화-취득세 면제 등 혜택도
시는 각 산업뉴타운에 거점시설 건립, 도로 신설, 전기통신시설 공급 등 산업기반에 지구별로 1000억∼1500억 원씩, 총 3조4420억 원을 직접 투자할 계획이다. 서울시 최항도 경쟁력강화본부장은 “국토계획법 37조에 따른 ‘산업 및 특정 개발 진흥지구’는 이미 지방에 존재하지만 투자가 원활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다”며 “산업뉴타운은 진흥지구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물론 시의 파격적인 지원도 받게 된다”고 말했다.
산업뉴타운으로 지정되는 곳에는 건폐율, 용적률, 높이 제한이 완화되며 취득세·등록세가 면제되고 재산세가 5년간 50% 경감된다. 시는 여기에 도시계획상의 인센티브를 추가로 제공할 방침이다. 시는 상대적으로 산업시설이 미약한 서울 동북권과 외곽지역을 균형발전 차원에서 다른 지역보다 먼저 산업뉴타운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산업뉴타운::
국토계획법 37조 ‘산업 및 특정개발진흥지구’ 지원 제도에 민간 주도가 아닌 공공 주도의 주거정책인 ‘뉴타운’ 개념을 도입한 것. 이에 따라 새롭게 조성되는 산업뉴타운은 서울시가 직접 투자해 진행된다.
구독
구독
구독